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화는 '살아간다는 것'을 통해 알게된 중국작가이다. 영화 '인생'의 원작이었단 말을 듣고 바로 서점으로 달려가 산 책이 바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조금은 황당하고 사건의 연관성이 없어보여 날 당황하게 만들었지만 그러나 날 끝임없이 고뇌하고 울게 만들었던 책이기도 하다. 처음 그의 책에 대한 나의 감동이 그러했기에 '허삼관 매혈기'에 대한 나의 기대 또한 못지 않았다.

처음에 책 제목을 접하고는 다시 한번 놀랐다. '허삼관이 피 파는 얘기'라니 정말 이건 또 무슨 얘기일까... 몇 시간이 지났을까...웃고 울며 또 죽음을 불안해 하며 마지막 장까지 읽어나갔다. 그리고 마지막의 허삼관의 명 대사를 보며 그 속에 담겨져 있는 휴머니즘과 해학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허삼관은 돈을 벌기 위해 피를 판다. 나는 이해할 수 없었다. 적어도 내가 살아왔고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시대에 누군가를 위해 피를 판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책을 이해하려면 당시의 중국에 관한 약간의 배경지식이 필요하리라는 생각에 그 부분은 그냥 이해하기로 했다.

그리고 난 일락이의 출생에 다시 한번 놀랬다. 점점 자라면서 자신을 닮지 않는 일락이를 보면 허삼관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모 방송인의 친자 소송 사건이 생각났다. 자신의 친자임에도 불구하고 부부사이의 믿음의 부재로 인해 DNA검사를 받아야 했던 그 불쌍한 아이와 가난하지만 비록 친아버지가 아니지만 자신을 위해 피를 파는 아버지를 가진 일락이와 어찌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수박을 뇌물로 받치면서까지 피를 팔아햐 했던 그들에게는 '삶'이란 그 누구의 삶보단 정열적이었다고 생각한다. 어찌보면 피를 파는 행위 자체가 너무 쉽게 돈을 벌려는 속물 근성이고 허옥란과 돈으로 결혼했단 자체도 허삼관을 속물적인 인간으로 볼 수도 있겠으나 어디 피 파는 일이 그리 쉬운 일일까? 작품 속에서는 비록 건장한 남자는 의례 피를 판다고 하지만 그것 또한 작자의 해학이 아닐까 생각한다.

책을 다 읽고 난 나를 뒤돌아 봤다. 과연 단 한번이라도 허삼관처럼 투쟁적으로 살았던 적이 있었을까? 이 책은 나를 뒤돌아보게 하고 또 우리 시대를 뒤돌아보게 했다. 그것이 얕은 휴머니즘이라 해도 어떠리.. 그리고 다시 한번 생각한다. 눈썹과 좃떨에 관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