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법 사회 -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공부법 2
진시원 외 지음 / 리베르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법 사회]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EC%9E%A5%EB%AF%B8%EA%BD%83




# 여러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져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사회, 공부하는 방법을 조금만 바꾸면 훨씬 쉬워진다! 이 책은 사회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여 만들어졌다. 효율적으로 사회를 익힐 수 있는 책을 만들기 위해 현직 사회 교사들이 모였다. 학교 교육 현장에서 사회 교육을 다양하게 시도해 온 경헙을 토대로 청소년을 위한 사회 교양서를 완성했다. #




%EC%9E%A5%EB%AF%B8%EA%BD%83






교실 수업과 연계한 사회 교양서이자 현장 경험이 살아 있는 대안 교과서!



지루한 주입 방식에서 벗어나 친숙한 융합 사례로 사회에 쉽게 접근한다!





"사회"라는 단어가 여전히 암기과목 제목중 하나로 느껴지는 건 오직 나 뿐인걸까..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왜?알아야 하는거지? 왜 ? 배워야 하는 거지?"   이유도 불문 초등학교에서는 중학교에 당연히 가야 하니까..중학교에서는 고등학교에 들어가야 하니까..대학은 수능을 봐야 하니까... 한참 공부 해야 하던 시절 학창시절이 다시 돌아온다면 그때 보다는 훨씬 이유있는 공부를 할 수 있었을 텐데..나이가 들면 들어갈 수록 조금만 빨리 알았더라면이라는 병에 걸리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뭐 어쨋든 이제라도 지금의 소중한 학창시절을 보내야 하는 현 중학생들에게 현직 선생님들이 들려주는 교과서 학습 비법! [중학생이 미리 배우는 공부법 사회]라는 책을 소개해본다.

내가 느꼈었듯 단지 사회라는 과목을 암기 과목으로 인식하거나 고리타분한 것으로 인식하지 안길 바라는 마음에 사회과목이 실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기본 틀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부터 인지하기 바란다. 사람과 사람이 어울어져 어떤 집단을 이루어 살기 시작하면서 공동 생활이 시작되었고, 이들이 모여 만든 집단을 "사회"라고 말한다. 가장 가깝게는 우리의 부모님과 형제 자매가 속해 있는 가족 집단, 학생들이 모여 있는 학교 집단, 더 크게는 우리 나라를 구성하는 국민! 이 모두 사회 중 하나이며 기본적인 사회 구성원이자 주인으로써 집단 내에서의 문화적인 부분, 제도적, 가치관적, 각종 언어적으로 어떤 특성들을 가지고 커다란 사회를 이루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책의 장점으로 일단 중학생의 눈에 맞추어 쉽고 흥미롭게 접근 할 수 있도록 각종 친숙한 사례를 들어 사진과 함께 구성하고 설명하고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체계를 중심으로 다소 딱딱하게 느껴지는 획일적인 형식을 벗어나 다채롭게 설명하고 있고, 자연스럽게 지리, 역사를 모두 공존화 시킴으로써 각종 시각 자료들을 통해 사회에 대한 넓고 깊게 이해하는 기본 틀을 제공한다.

또한 각 주제의 마지막 부분에는 '한눈에 정리하기' 부분에서는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사고력을 키우며 올바른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준다.  '사회 한 걸음 더!' 부분은 좀 더 친숙한 소재를 바탕으로 해당 키워드를 이해하고 현상황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 전반적인 내용을 크게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문화나 법, 현대 사회,민주주의 인궈느 경제, 국제 사회 전반에 이르기까지 사회를 이해하고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기초 발판이 되는데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