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사랑할 용기 - 인간관계를 둘러싼 88가지 고민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
기시미 이치로 지음, 홍성민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사랑할 용기]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을 일상에서 활용해보는 기시미 이치로의 즉문즉답





대인관계로 무너진 자존감을 되찾는 법!

"당신은 '자신을'좋아합니까?"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EC%9E%A5%EB%AF%B8%EA%BD%83






아들러 심리학의 1인자이자 철학자인 기시미 이치로!

여전히 도서관에서조차 예약이 끊이지 않는 도서중 하나인 <미움받을 용기1,2>의 저자인 기시미 이치로는 <미움받을 용기 1,2>에 이어 145만 독자의 질문에 답하는 [나를 사랑할 용기]를 출간했다. 역시나 기대되는 마음으로 책을 펼치게 된다. 개인적으로 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은지라 아들러 심리학을 알기 이전엔 프로이트 심리학에 대한 바탕으로 사람에 대해 생각하곤 했었다. 하지만 아들러는 과거의 원인으로 현재를 이야기하는 프로이트와는 달리 심리학에 열등감을 최초 도입한 아들러는 갖가지 이유를 내세워 현재의 과제에서 도망치려하는 것을 '열등 콤플렉스'라 부르고 이런 사람들은 타인으로하여금 수긍할 만한 이유를 찾아내어 그 뒤에 자신을 숨김으로써 자신의 현재 행동의 타당성을 정당화 하려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는 과거일 뿐 지난 일을 되돌이켜 다시 바꾼다는 것은 있을 수 없음을 주장하며 바꿀 수 없는 것에 연연하다 포기 할 것이 아니라 바꿀 수 있는 것에 주목하고 그 핵심을 인간관계에 두고 있다. 따라서 아들러는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하고 있으며 신경증적 문제 또한 마음의 문제가 아닌 인간관계의 문제라고 본 것이다. [나를 사랑할 용기]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을 근거로한 인간관계에 대한 다양한 고민에 대답을 하는 구성이다. 미움받을 용기 처럼 대화형식의 서술은 아니지만 이미 우리가 인간관계 속에서 고민해오던 상황들에 대한 아들러식 해결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들러는 현재 어떤 문제를 직면한데 있어 과거에 연연하여 포기 하기 보다는 내가 바꿀 수 있는 부분이라면 그곳에서 부터 새롭게 접근하기를 권하는 듯하다. 지금의 나를 좀 더 나은 사람, 좀 더 행복한 사람이 되길 바라며 던진 질문으로 " 당신은 '자신'을 사랑합니까?"를 기억하며 인간으로써 피할 수 없는 인간관계에 대한 생각을 다시 짚어보는 기회로 삼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좋타 나쁘다 어느 한쪽의 치우침보다 각각의 장점을 내것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으로 아들러 심리학을 접근한다면 살아가는데 나의 마음가짐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 있거나 또는 그간 고민하던 부분으로 풀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면 문제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