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불멸주의자 - 인류 문명을 움직여온 죽음의 사회심리학
셸던 솔로몬.제프 그린버그.톰 피진스키 지음, 이은경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픈불멸주의자]





 






종교,경제,과학,예슬에서 테러까지

죽음의 두려움 앞에 드러난 인간 행동의 탐구



%EC%A2%8B%EC%95%84



인류 문명을 움직여온 죽음의 심리학










 

1.jpg

 


 

2.jpg


 

3.jpg





 

%EB%AF%B8%EC%86%8C



[슬픈불멸주의자]를 읽고 나서 생각해보니 죽음에 대해 깊이 있는 물음을 던져 본 경험이 없는 듯 하다 . 그냥 막연히 죽음이라는 단어 자체 의미를 알고 있었을 뿐 아직 죽음을 생각할 나이가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더 늙어지면 자연스럽게 죽음을 준비 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한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사실 죽지 않기 위해 불로초를 찾아 헤매였다는 과거 진시황제 같은 인물들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저 자연의 순리 대로 살다 가는거 아닌가...세상이 살기 어렵다 하다보니 이런 사고가 자리 잡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그저 하루하루에 나름의 최선을 다하면 만족! 아무튼 [슬픈불멸주의자]는 지금의 내생각과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된다. 총 3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공포관리 이론의 기본 원리와 공포 관리의 양대 기둥인 문화적 세계관과 자존감을 소개하고 있으며, 2부에서는 우리 선조들에게 죽음이라는 문제가 어떻게 발생했는지와 그들이 죽음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찾고자 고대사를 탐구했고, 3부에서는 언젠가 죽는다는 암시가 개인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4.jpg


 



이 책은 죽음에 대해 대항하는 인간들의 모습을 다양한 예시를 들어 그 근거들로 죽음을 생각하고 인지하는 부분들이 미치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연관지어가며 설명하고, 과거 역사적, 과학적, 인문학적, 수많은 실험 결과들을 통해 사람들이 이 순간에도 겪고 있는 몸부림들을 통해 죽음이 인간 경험의 핵심에 존재하며 곧 고뇌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죽음이라는 그 자체의 의미보다도 누구나 언젠가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인식이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주고 끊임없는 불멸의 길을 추구한다고도 말한다. 이로써 이 영향력은 현대사회 현재에도 미치고 있는게 사실이며, 죽음을 두려워하는 것이 비이성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고 전하고 있다.

마사 누스바움, 타일러 볼크, 스티븐 케이브 같은 현대 사상가들은 인간의 생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죽음이 필수 조건이라 말하고 있으며 만약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류는 유동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없을 것이라고도 한다. 그 이유는 인간이 아무도 죽지 않고 삶이 영원하다면 유전적 변이나 독창적인 발견, 기술 혁신, 예술 창작품들이 새로운 인간에게 전달할 여지도 없어지기 때문에 결국엔 인간의 생물 및 문화적진화는 멈추게 된다는 논리이다.




 

5.jpg


 



마지막으로 소개되는 저자들이 말하는 두가지 관점의 세계관에 대한 내용이다. 하나는 '절벽' 다른 하나는 '소용돌이'이다. 절벽은 실제 및 상징적 불명성을 획득하기 위한 명쾌한 처방을 알려주는 흑백 논리의 사물 체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 사람들은 자기의 신념이 절대 진리라고 선언하고 자신은 선과 악을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근본주의, 파시즘, 공산주의, 일부 자유시장자본주의 같은 '주의'라는 관점을 말한다. '소용돌이'세계관은 애매모호함을 수용하고 모든 신념은 어느 정도 불확실성을 내포한다고 인정하는 인생관으로써 어느정도의 융통성을 내포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이는 옳음과 그름, 선과 악을 항상 정확히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며, 의미와 가치를 인간이 만들어 낸 산물의 하나라고 인정하는 세계관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두 세계관 어느 한쪽도 안전하지 않다고 한다. 절벽세계관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반면, 악의 세계를 제거하려는 독선적 개혁 운동의 희생자에게 끔찍한 피해를 입힐 수 있고, 소용돌이 세계관은 연민이 넘치는 세계관이지만 죽음 불안을 완화하기에 역부족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세계관을 수용가능한 제 3의 세계관을 만들어야 한다고도 말한다. 하지만 선택과 결론은 독자의 몫인것 같다. 어떤 쪽은 택하든 우리는 역사적으로도 되짚어 볼 때 죽음이 미치는 영향력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이해하는데 하나의 기본이 되어준다는 걸 배우게 된다. 또한 죽음에 대한 무의식적인 심리적, 행동적 방어들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써 현재 나의 행동을 변화하게 만든다는 점도 삶에 대한 풍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