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부활 - KBS 특별기획
KBS <미국의 부활> 제작팀 지음 / 가나출판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의 부활]



다시 시작된 미국의 시대,

무엇이 미국을 강하게 만드는가



%EB%AF%B8%EC%86%8C%20%EB%8F%99%EA%B8%80%EC%9D%B4



첨단기술과 결합하여 업그레이드된 제조업,셰일로 시작된 에너지 혁명








 

1.jpg


 

2.jpg


 

3.jpg


 





%EA%B7%A4




2008년 세상의 판도가 바뀔거라며 미국발 금융위기를 이야기 했었다. 미국 4대 투자은행 중에 하나였던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 신청으로 경제 위기의 시작을 알렸고, 그 뒤를 이어 대형 투자은행의 파산과 주택가격의 하락, 중산층하락, 은행들의 지급불능,실업자들의 급증 등등 더 이상 강대국이였던 미국의 시대는 끝났다며 진짜 세상이 뒤바뀌는걸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었다. 언제나 탄탄한 경제력을 가진 미국이라지만 이번 사태만큼은 쉽지 않을꺼라고 예측했었다. 하지만 당시 생각보다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던 미국은 지금 전 세계를 압도하는 제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는 첨단산업에서 독보적으로 위치하였으며 경제 위기 속에서 산업이 자국의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강한 믿음으로 기술 혁신을 위해 꾸준한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왔다.

곧 국가가 투자를 하고 대학과 산업을 이어 혁신기술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지원을 통해 전 세계의 풍부한 인력들이 몰려들게 되면서 미국은 영화에서나 보아왔던 가상현실들을 점차 현실로 바꾸어 가는 작업을 하고 있다. 기존의 제조업을 다시 업그레이드하여 첨단제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창출되는 수많은 일자리 창출, "셰일오일의 개발"이라는 혁명적 사건을 통해 또 한번 미국의 부활을 도왔다고 할 수 있다.



 




 

4.jpg


 

5.jpg


 



1부는 '첨단산업의 리더', 2부는 '제조업 르네상스', 3부는 '셰일혁명'을 통해 미국 경제의 부활이 앞으로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미국은 땅덩어리도 우리보다 훨씬 더 크지만 전 세계에서 몰려드는 젊은 유학생들의 인력들은 앞으로 미국의 미래를 만들어가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점차 고령화사회로 접어드는 우리와는 상반되는 모습인데다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다양할 혁신 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는 젊은 CEO들의 증가로 고급 인적 자원이 자라나고 있다는데에 그 미래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과는 다르게 상반된 우리나라의 기업들의 여전히 바뀌지 않는 관습이 남아 있다면 또한 그 관습으로 인해 인재 개발에 부적절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이제 바뀌어야 하는건 아닐까 생각해보며 비록 같은 환경은 아닐지라도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기업환경을 조성하고 혁신하는데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