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바이러스
티보어 로데 지음, 박여명 옮김 / 북펌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나리자 바이러스]




"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미를 발명했고, 세계는 아름다움에 중독되었다."


유럽 서점가를 강타한 블록버스터 스릴러!




 

1.jpg




 

2.jpg



 





[모나리자 바이러스]는 "댄 브라운의 귀환"이란 문구가 눈에 확 띄는 책이다. 그래서인지  처음엔 댄 브라운의 소설인줄 착각했었다. 하지만 책의 띠지속에 감춰진 진짜작가의 이름 티보어 로데라는 이름을 보고 착각임을 알게 된다.

모나리자와 바이러스를 합한 책의 제목이 매우 흥미로웠다. 모나리자가 아름다움의 상징인 것으로 들은 적은 있지만 인정한 적은 없는 듯하다. 어쨌든 이 소설에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가운데 모나리자를 아름다움 자체를 바이러스로 바라보고 우리 인간들에게 심어진 아름다움에 대한 잘못된 사고의 원인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최고로 아름다운 것을 선이라고 정하고, 그와 반대를 악이라 보게 되는 우리 사회의 잘못된 아름다움에 대한 숭배를 비판하는 것 같기도 했다.


대표적인 등장인물로 주인공인 과거 패션모델로 활동했던 뛰어난 미모의 여성이자 신경미학을 전공한 헬렌 모건과 정의로운 FBI요원인 그렉밀너,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과 보안 시스템을 개발하는 바이시 바이러스의 창립자 파벨 바이시, 인류사를 통틀어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천재 중의 천재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이자 수학자인 루카 파치올리를 중심으로 지구 곳곳에서 다양하게 일어나는 엄청난 사건들을 통해 연결에 연결을 지어 하나를 가리키고 있음을 알게 된다. 소설의 중간 중간에 1500년경 피렌체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데 소설의 긴장감과 모나리자 과정의 이야기들이 섬뜩함을 보여준다.




 

3.jpg


 

 



미스아메리카 선발대회 참가자들의 실종, 벌들의  떼죽음, 르네상스 시대의 건물들의 연쇄폭탄테러, 전세계의 영상 데이터를 훼손하는 정체모를 바이러스,,어떤 것도 알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세계 곳곳에서 터지는 사건들로 인한 공포, 이 때 헬렌의 딸 (16세,거식증환자)의 실종과 세계적 갑부 파벨 바이시의 실종이 연관되어 있다는 연락으로 주인공 헬렌을 중심으로한 이야기는 진행된다. 미의 근원을 파괴하고, 인간이 공통된 아름다움이라 생각하는 황금비율을 파괴하려는 내용은 소설의 몰입도와 긴장감을 마지막까지 이어가고 있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아름다움에 대한 그릇된 흑백논리적 사고를 비판이라도 하는 듯 새로운 시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나도 모르게 갖게된 미의 기준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