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인간의 지도 - 좌뇌와 우뇌를 발견한 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 마이클 S. 가자니가의 자서전
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 박인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뇌,인간의 지도]



" 우리의 뇌는 공존을 원한다."



%EB%AF%B8%EC%86%8C



좌뇌와 우뇌를 발견한 인지신경과학의 창시자


마이클S.가자니가 자서전 













 




%EC%A2%8B%EC%95%84%20%EB%8F%99%EA%B8%80%EC%9D%B4




모든 과학의 시작은 호기심, 궁금증에서 시작된다. 사사로운 현상과 상황들을 놓고 왜?라는 질문을 던져 놓은 채 자신의 일생을 바쳐 그 해답을 찾기 위해 다방면으로 고민하고 실험하고 연구하는 과학자들... 그 중 한 과학자는 자신들만의 세계에 빠져 들지 않기 위해 사회적,심리적,과학적으로 다방면의 분야를 넘나들으며 관련된 많은 학자들과 논의하고 또 다시 연구하며 실생활에 밀접한 이야기들을 한다. [뇌,인간의 지도]는 바로 이를 바탕으로 평생을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한 일흔이 넘은 석학 마이클S.가자니가에 대한 이야기로 저자가 살아온 인생 전반을 책 한권에 담아 놓았다. 유일하게 뇌 과학이라고 하면 즐겨보는 TV프로그램을 통해 알게된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이신 정재승 교수님이 떠오르는데 이 분 또한 삶이 곧 인지신경과학의 역사인 한 과학자를 소개하며 추천사를 통해 좀 더 흥미를 돋워주었다.


대부분 뇌의 인지 사고 과정 연구를 하는 학자들은 마이클 가자니가의 책을 교과서로, 또는 그의 심리학회나 신경과학회 등의 강연을 통해 접한다고 한다. 그만큼 저자는 인지 신경과학의 최전선에 있는 학자로써 지금 현재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사실 뇌과학에 대한 관심은 있지만 문외한으로 처음엔 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일반 논증을 통한 과학 관련 도서들과는 달리 저자의 어린시절에서 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뇌를 연구하게 되는 계기 등 가족과 주변 친구,지인들을 통해 느끼고 배워가는 이야기들, 중간 중간에 저자가 동물실험을 통해서 얻는 결과물, 수많은 생각들을 그의 자서전 답게 감춤없이 서술하고 있다.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다 빼고 오로지 뇌 과학에 관한 이야기만 가지고도 충분히 이 책은 읽어볼 만한 가치가 있어보인다.




# 아킬라이티스 환자들이라 불린 이들은 칼텍의 스페리와 그의 제자론 마이어스가 진행한 동물 실험이 인간의 뇌에도 적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최적의 환자들이었다. 이후 동물 실험을 통해 좌뇌와 우죄를 분리한 원숭이는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알지 못 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혹시 인간에게도 이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까?   p.40



# 바로 이 수술 전 테스트 기간중에 빌은 이렇게 말했다. "있잖아요. 설사 이번 수숭리 제 병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해도 뭐가를 알아낸다면 그것만으로도 제가 지난 수년 동안 시도한 그 어떤 치료보다 가치가 있을 겁니다." 그는 1962년 2월 수술을 받았다.   p.72



# 우리는 늘 분리된 한쪽 뇌에서 다른 쪽 뇌로 전달되지 못하는 뇌 기능을 찾고 있었다. 감정 자극을 이용한 원숭이 연구 이후 나는 사람도 같은 방식으로 반응할지 확인하고 싶었다. 비감정적 자극은 반대쪽 뇌에 단서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잠재적 감정 자극이 반대쪽 뇌에 어떤 식으로든 단서를 줄까?  p130






 



우뇌형 인간, 좌뇌형 인간이란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았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분리뇌 이야기는 내가 아는 얕은 수준의 지식을 조금 다르고 깊이 있게 느껴졌다. 토끼를 비롯한 원숭이 등 동물 실험, 이 후 지난 50년간 마이클 가자니가와 함께 뇌 연구를 함께 해준 환자들의 디테일한 실험 묘사 부분은 상상으로 그려내기에 쉽지는 않았지만 조금 의학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좀 더 도움 받을 수 있을꺼라 생각한다.

실험과 테스트 하나하나를 끝마칠 때마다 새롭게 생겨나는 가설과 이론,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직접 실험을 하며 이 모두 영상자료로 남겨두는 저자의 꼼꼼하고 세밀한 성격은 지금의 석학을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는 우리 뇌를 좌뇌와 우뇌로 나누어 분리하고 그 두개 뇌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어 실험하는 이야기들이였다.  이미 동물실험에서 스페리가 동물의 양쪽 뇌 간의 연결부분을 절단했던 초기 연구에 대한 사례를 바탕으로 치료가 쉽지 않은 간질을 통제할 목적으로 사람에게 뇌 분리 수술을 제안하면서 그 사례는 새로운 발견을 가져다 주었고 이것은 분리뇌 환자에 대한 새로운 실험 연구의 발판이 되어주기도 했다. 그리고 좌뇌와 우뇌 둘 사이에 서로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테스트를 통해 증명되는 결과들이 신비롭고 신기했다. 인간의 모든 결정과 행동, 반응들을 결정하는 것들이 서로가 통하는 어떤 신호들을 통해 마치 대화라도 하고 있는 듯 하기도 했고, 각자의 역할이 있어 혼자서가 아닌 서로 협력관계를 가지고 지금도 여전히 끝없는 뇌 연구는 현재 진행현으로 누군가의 호기심이 앞으로 10년 20년이,,100년이 지나 어떤 신비로움을 풀어내게 될지 기대감을 갖게 해준 흥미롭고 신비로운 분리뇌에 대한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