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반철학 - 내 삶에 균형추를 달다
리칭쯔 지음, 김미경 옮김 / 움직이는서재 / 201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반반철학] 




당신이 인생에 100을 걸든 50을 걸든

돌아오는 것은 50이다







1.jpg


 

2.jpg


 

3.jpg


 

4.jpg


 



%EB%AF%B8%EC%86%8C%20%EB%8F%99%EA%B8%80%EC%9D%B4



즐겁지만 빠져들지 않고

슬프지만 상처받지 않는다.


인생이란

반은 남기고 반은 버리며

반은 얻고 반은 잃으며

반은 쓰고 반은 달다.


세상이 흔들리고 기울어도

내 삶에 균형추가 있다면

나는 언제나 무사하다.



%EA%BD%83%EC%9E%8E


어느곳 어디에도 100프로란 없다고들 이야기 합니다. 결혼을 하기위해 만나는 반려자도 친구, 인간관계, 삶에 연관되어 있는 대부분 100프로 성립이 최선이여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시작하는 [반반철학]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100이 아니라는것을 알고 있다면 우리들 모두 100을 목표할 필요도 없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반반철학은 100이 아닌 50을 목표로 사는 삶을 이야기하며 내 것 50, 내 것 아닌 것이 50으로 얻어가는 것과 읽어가는 것이 반반임을 알고 방황하거나 흔들리지 말라고 주장한다. 어차피 세상은 불완전함이 기본이기에 완벽해지려고 욕심을 내거나 완벽하지 않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다.

이 책을 읽어가다보면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완벽한 인간형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에서는 완벽을 넘어 그 이상의 것을 기대하며 과함을 요구하고 100을 간신히 채워내더라도 본전찾기라 평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당사자에게 너무나 힘들고 발길만 무겁게 하는 짐이 되어줄 뿐인거 같다.

회사일을 반반철학을 대입하기는 어려울지 모르겠지만 내 인생 전반을 두고 생각해보면 저자의 말처럼 인생의 반은 남기고 반은 버리고, 반은 얻고 반은 잃으며, 반은 달고 반은 쓰다는 말이 강하게 어필이 되는 것 같다.

그런데 신기한 점은 인생을 어느정도 살다보면 스스로 100의 결과를 얻기 위해 전력질주하였지만 결국 100의 결과를 얻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고 한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내 노력과 관련없이 결국 하늘의 결과를 기대리는 경우가 이런 것인데 이럴때 저자는 50의 노력과 50의 버티기를 조언하고 있다. 이것이야 말로 100을 만드는 딱 한가지 방법이다.




 

5.jpg


 




# 포기는 나와 맞지 않는 길이라는 걸 깨닫고

내게 맞는 길을 다시 찾는 것이다.

버티기는 내게 맞는 길을 가는 데 있어 불어닥치는 비바람을 견뎌내는 것이다. p128


반반철학에서 포기는 능력이며 우리가 잘 아는 원숭이 이야기처럼 손에 쥔 무언가를 버려야 살수 있다는 것 , 무엇이든지 하나를 포기해야 생존하는 순간이고 생존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 그릇에 넘침이나 비워야 채울수 있다거나 하는 이야기와 비슷한 느낌이 드는게 내 인생의 균형과 삶의 균형추를 맞추기 위해서는 반반철학의 조언을 반영해보는 것도 조금 더 편안한 마음을 얻기 위해 도움이 되리란 생각이 들고, 비우고 채우는 버리는 것과 비우는 것도 타인의 의지가 아닌 나 스스로의 의지로 이루어 냄으로써 또 다른 시작을 만들어 창출해 내는 것! 그것이 내 행복을 쟁취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