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전 - 법정이 묻고 성철이 답하다
성철.법정 지음 / 책읽는섬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전]




법정이 묻고 성철이 답하다


%EA%B9%9C%EC%B0%8D


법정과 성철, 떠나간 두 건인이 우리에게 남긴 마지막 이야기


네가 이미 부처임을 깨닫는 것, 그것이 성불이고 해탈이다.





 

1.jpg


 

2.jpg


 

3.jpg


 

4.jpg



 



%EC%9E%A5%EB%AF%B8%EA%BD%83



각자의 종교를 떠나 이분들의 법명만 들어도 당대에 대표적인 선승임을 모르는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성철,법정 스님의 현문, 현답으로 이루어진 [설전]은 한 구절 한구절 읽어내는 말들을 그냥 넘기지 않아야 할 것 같은 느낌이다. 어떻게 보면 참으로 쉽게 생각하고 쉽게 답하는 것 같기도 하도, 당연한 것을 도리어 더 복잡하게 생각하고 살았었구나 싶은 생각도 들게 한다.

성철스님은 어떻게 알고 자신을 찾아오는 많은 사람들에게 누구를 불문하고 3천 배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자신이 높은 경지에 이른 사람이기에 아무나 만나주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절을 시키는 것이 아닌 남을 위해 절을 하고 기도를 하다보면 3천배 중에 자신의 심중에 큰 변화를 가지게 되어 그 이후로 자신을 위한 절을 함으로써 성철스님을 만나고 가는 것 그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속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성철스님은 곧 찾아온 그 사람에게 이익을 줄 수 없으니 부처님을 스스로 따르게 하여 그 사람을 이롭게 하기 위함이라고 하셨다. 보통은 한번 꼬아 생각하기 마련인데 그 꼬여있던 생각을 했던 것 자체를 부끄럽게 하는 말씀이였다.


성불이란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본디 부처임을 깨닫는 것

부처님 계신 곳은 바로 지금 그대가 서 있는 그 자리 -성철


성철 스님은 인간의 존엄성을 명경에 비유하시며, 깨끗한 거울에 먼지가 꽉차 앉은 것을 인간의 절대적인 인격에 복구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셨다. 먼지만 닦아내면 깨끗한 본래 거울 그대로이므로 다른 거울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것! 그것이 인간 회복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또한 의식주 중 먹는 문제에 이썽서 사람이 안 먹으면 안되지만 사람이 음식에 먹히면 안된다고 하셨다. 술도 음식도 적게 먹고 맛있는건 안 먹기 위해 간을 빼고 맨 것을 그대로 먹고 스스로 음식을 제한하셨다 영양실조가 오기도 했었다고,,,어떻게 보면 이렇게 까지 해야 할까 싶은 생각도 들었지만 참 수도를 하기 위해 최저 생활을 하되 최고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그것이 근본이라고 생각하셨다고 한다. 요즘말로 웃프게도 어떤 스님은 성철스님과 함께 다니지 않으려 했다고,,너무 최저생활을 지향하다보니 그 다른 스님이 함께 다니기도 쉽지 않았겠다 싶기도하다. 이렇듯 자신에게 엄격하기가 어디 쉬웠을까 싶기도 하지만 그러니 지금의 성철스님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지금 해인사에는 다행히도 백련암에 성철 방장 스님이 계신다. 세속적인 처지에서 본다면 스님은 지나치게 엄격하다.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불법 앞에 사정을 두지 않는다. 그러나 출세간의 입장으로는 철저한 신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지극히 친절하다. 스님의 구도관은 철저해서 삼매 현전이 자나깨나 한결같지 않으면 그 누구도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가끔 가야산에 들르고 싶은 것도 이렇듯 꿋꿋한 선사를 가까이서 뷜 수 있기 때문이다. -법정의 수필,<가야산의 억새풀>에서


 


 


이 두 스님의 대화를 보다보면 성철스님과 법정스님의 성격이 매우 다르게 느껴진다. 성철스님은 가까이 하기 어려울 정도로 엄격해 보이는 반면 법정스님은 조금은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럼에도 성철스님은 뭇 제자와 후학들에게 대단히 엄격하면서도 유독 제자뻘인 법정을 인정하고 아꼈다고 한다. 성철스님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필했었다는 원택스님을 통해 성철스님과 법정스님 사이 대화 속에 담긴 의미를 다지고 생각해보며 나와 연결지어 의미를 부여해보았다. 중생이라는 말이 딱 떠오르는 순간이다. 이분들만큼 깨닫기 어려울지는 모르겠지만 말씀들을 바탕으로 구절마다 의미를 두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