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는 한국사 -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
최성락 지음 / 페이퍼로드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하지 않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역사의 불편한 진실!


!!


중요한 곳에 밑줄을 긋고 역사적 의의와 한계점을 외우고


자주 출제되는 사건을 연도별로 정리했던 학창시절의 한국사는 잠시 잊어도 좋다!







 

1.jpg


 

2.jpg


 

3.jpg


 

4.jpg


 

5.jpg


 




%EB%8B%B9%EA%B7%BC





어릴 적 국사에 대해 암기과목이라는 인식과 시험위주 수업이 이루어지다보니 그다지 흥미롭지 않았던 기억이 있다. 외워도 외워도 끝없이 나오는 암기꺼리들로 국사라는 말만 들어도 암기 잘하는 애들이 점수 잘 나온다는 생각에 왜 국사를 배워야 했는지에 대한 목적을 잃어버린듯 하다. 시험을 위한 역사 공부가 아닌 우리의 정체성 찾아갈 수 있는 공부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요즘 관심을 가지고 역사 공부를 하며, [말하지 않는 한국사]라는 도서를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우리가 그동안 배워온 히스토리를 배경 삶아 새로운 시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던 것 같다.


저자의 이야기 대로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감춰진 우리 역사에 대한 불편한 진실에 대한 내용들로 1~4장으로 크게 나누어 세부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우리가 아는 내용과 상반되는 질문들로 전근대,근대,현대에 이르기까지 이미 지나간 과거이지만 한 번쯤 만약에 그 때 그렇게 결정하지 않았더라면 어떠했을까 라는 생각의 확장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다소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하는 충격적인 사건들도 꽤 나온다. 그리고 내가 알고 있는게 사실이 아니였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충격은 한국드라마에서나 나올법한 '실은 너희둘이 친 남매였어~'라는 말을 들을 때와 비슷하기도 했다. 적절한 비유인지는 모르겠지만 마냥 좋게만 보였던 사람이 악마로 보이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역사란 이긴자의 역사란 말이 있듯 조선시대 우리가 알고 있는 광해군을 폭군에서 다시 재조명하여 새로운 광해군의 이미지로 연구되는 것과 같이 어떻게 인지하고 바라보는가에 따라 다른 히스토리가 펼쳐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임진왜란은 일본의 기습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

외국인이 조선의 백성을 보고 한탄한 이유는?

근대화가 늦어 뒤쳐진 것일 뿐, 한국은 원래 잘살았다?

1950년대,미국의 원조가 없었다면?

한국의 바닷길이 끊어지면 무슨일이 벌어질까?

한국의 금속활자가 세계사에서 중시되지 않는 이유는?

도둑맞은 문화재보다 내다 판 문화재가 더 많다?

..


등의 다양한 흥미로운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고, 간결하게 정리하고 있어 역사를 잘 모르거나 관심이 적었던 독자들에게도 충분히 흥미로울 수 있어 보인다.




 

6.jpg


 

 



# 대마도 사람들이 중간에 통역을 제대로 하지 않고 말들을 전부 다 바꾸면 되는 것이다. 조선에서 보낸 국서가 있지만 어차피 일본 장수들은 한문을 읽을 줄도 모른다. 국서를 위조하면 되고, 국서를 읽어보라 하면 다른 말로 바꾸어서 말하면 된다. 대마도는 그런 식으로 중간에서 사기를 쳤고, 일본 사람들은 끝까지 조선의 통신사가 항복 사절인 것으로 알았다.


-45p '조선이 통신사를 보내 일본을 가르쳤다?' 중



# 조선은 기본적으로 1년 일모작이었다. 하지만 일본은 1년 이모작이었고,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1년 삼모작,사모작까지 되었다. 이는 무엇을 뜻할까? 조선사람들이 쌀 한마지기를 생산해낼 때 일본은 쌀 두 마지기, 동남아시아 국가는 쌀3~4마지기를 생산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83p '근대화가 늦어 뒤쳐진 것일 뿐, 한국은 원래 잘 살았다?'중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위안부,소녀상 등에 대한 뉴스가 연일 보도되면서 역사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상기 할 수 있는 때인 것 같다. 시험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역사를 가르쳐주고 흥미를 유발시켜주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보며 역사의 모순이 있다면 바로잡고 생각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기를 바래본다.   



%EB%AF%B8%EC%86%8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