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력 -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선종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력]

 

​"오로지 읽은 것만이 나에게 남았다."

생각법에서 대화법까지 아우르는 전방위적 공부 멘토 사이토 다카시 교수가 말하는 책 한 권을 읽는 힘!​


1.jpg


%ED%81%B4%EB%A1%9C%EB%B2%84

​예전엔 그랬던 것 같다.

책을 읽는 것 자체가 독서하는 것이라는 생각..그런데 이상하리만큼 읽고 또 읽는데 글자만 읽었다는 느낌이 언제부터인가 들기 시작 했던 것 같다.그리고 대부분 독서의 이유가 시험에 대한 준비 과정?같은...요즘 아이들은 어린시절부터 독서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걸 볼 수 있다. 내 절친도 아이들 독서하는 법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니까..그 친구의 이야기만 들어보아도 독서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늘었다는 걸 알게 된다..

하지만 나의 어린시절엔 안타깝게도 영/수 학원다니는 것 만으로도 만족할 시절...이렇게 구체적인 독서방법에 대한 경험들까지는  생각도 못했던 것 같다. (나만그런가.몰라도... ㅡㅡ)뒤늦게나마 독서에도 방법이 있다는 걸 깨닫게 되면서 스스로 터특해 가는 과정을 겪고 있는건 확실하다.


2.jpg


3.jpg


%EC%9E%A5%EB%AF%B8%EA%BD%83

​[독서력] 이 책은 "왜 독서를 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하기 위해 썼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 사이토 다카시는 평생을 공부해야 하는 이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독서력에 대해 그 방법과 요령들을 밝히고 있다. 책은 의외로 두껍지 않아 읽는데 무리가 없고 부담이 적어 책상 한켠에 늘 눈에 띄도록 두고 바로바로 꺼내어 보기 좋게 구성되어 있다. 크게는 4장으로  1장에서는 독서력을 가지고 있는가?라는 주제로 독서력에 대한 중요성과 왜 필요한지 독서력이 주는 어마어마한 결과에 대해 이펙트 있는 주장을 하고 있다.

책은 읽어도 되고 읽지 않아도 된는 것이 아니라 읽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독서로 길러진 사고력이 뭔가를 생각할 때 큰 힘이 된다.

대화를 나눌때도 독서 경험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p.20​

​2장에서는 나를 찾고 싶다면 독서를 하라:자아형성을 주제로 자신을 찾아가는 방법중 최고의 방법을 독서로 삼아 책과 관련된 모든 활동들을 그냥 덮어두기 보다는 모두 독서력을 기르는 방법으로 삼는 새로운 시야를 갖도록 돕는다.  3장에서는 독서는 스포츠다:자기단련을 주제로 독서력을 기르기 위해 스스로 훈련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독서도 스포츠와 비슷한 숙달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받아들이면 훨씬 독서하기가 쉬워진다. 4장에서는 독서는 커뮤니케이션이다.:세계관의 확장을 주제로 충분한 독서력이 길러졌다면 이를 활용해 써먹는 과정이다. 책을 읽고 대화의 질을 높여 스스로 독서력의 힘을 맛보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4.jpg


%EC%A2%8B%EC%95%84

어쩌면 사람들은 [독서력]책을 보고 사이토 다카시 저자는 어쩌면 일반적으로 알법한 이야기를 잘 정리한 책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틀린말은 아닐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한번은 꼭 읽어봐야 할 이유라면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도 모르게 책에 대한 흥미와 책을 읽고자 하는 나의 가슴을 열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나 또한 책을 통해 한 번 더 독서력에 대한 조언을 얻었기 때문이다.


5.jpg


우리나라는 세계 OECD국가중 독서량이 꼴지라는..안타까운 말을 들은 기억이 있다.

책속에 길이 있다는 말도 있듯이 글자만 읽고 권수만 늘리는 독서를 하기 보다는 그 모든 문장,문장에서 느껴지는 보이지 않는 내 안의 힘을 키우는 독서를 통해 내가 바뀌고 세상을 바꾸는 능력을 쌓아간다면, 그리고 그 필요성을 인지한 독자들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brown_and_cony-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