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달 수수께끼 12띠 숨은그림찾기 - 12간지, 4대 명절, 24절기
유재숙 그림 / 상상의집 / 2017년 10월
평점 :
상상의집
[12달 수수께끼 12띠 숨은그림찾기]
상상의집 편집부 글/ 유재숙 그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06.jpg)
우리나라 24절기에 대해 아이를 키우며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아이가 유치원에서 배우고 와서 묻기도 하고 달력을 보다 궁금해 지기도 했어요.
그런데 짧은 지식의 한계로 자세히 알려주지 못해서 부끄럽고 답답했어요.
그래서 상상의집의 이 책이 너무나 반가웠습니다.
12간지와 4대 명절 그리고 24절기까지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는 책이예요.
거기다 빵 터짐 주의! 라는 문구가 눈에 띄는 책이예요. ㅋㅋ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07.jpg)
월별로 12간지 동물들이 절기를 소개해줘요.
그리고 해당 동물을 찾는 숨은그림찾기와
정말 웃음이 빵 터지는 수수께끼들이 가득 들어 있어요.
그림으로 4대명절과 24절기의 모습을 표현해 놔서
한눈에 무엇을 하는지 잘 알 수 있어요.
그리고 친절하게 뒷편에서 다시 한번
12간지의 특징과 24절기의 풍속들을 정리해 놓았어요.
그리고 우리나라 12간지에는 없지만 서양에는 있는
고양이 찾기까지 재미요소가 가득한 책이예요.
우리딸은 지금 생쥐5마리 찾느라 바빠요!!바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08.jpg)
24절기 이야기가 쉽지 않은 것이라 글이 길면 아이가 지루해 해요.
그래서 이 책의 구성이 너무나 맘에 듭니다.
어떻게 요렇게 만들 생각을 하셨을까요?
전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3줄의 짧은 절기 설명과 나머지는 아이가 좋아하는 말풍선 글들..
그리고 숨은그림찾기와 수수께끼들이 우리딸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예요.
처음엔 수수께끼를 잘 못맞춰서 속상해 하더니..
저에게 계속 수수께끼를 냈어요.
제가 모른다고 하면 더 신나하며 답을 알려주네요. ㅋㅋ
저녁에 퇴근한 아빠에게 수수께끼를 끊임없이 내고..
우리가족은 한바탕 웃음바다가 되었어요.
우리딸 이 책이 너무 재밌다며 엄지 척! 듭니다.
수수께끼 풀며 모르던 어휘가 많이 나왔는데요.
정말 재밌게 어휘력이 쑥쑥 커지는 것도 느꼈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09.jpg)
24절기중 5월은 입하 라고 해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예요.
개구리가 울고 지렁이들이 꿈틀거리며 이팝나무에서 쌀밥같이 생긴 꽃이 피어요.
수수께끼도 이 절기와 연관된 질문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봄에 하얀 우산을 쓰고 훨훨 날아가는 것은?
고기를 싫어하는 소는?
쌀밥이 열리는 나무는?
개미가 사는 곳의 주소는? ㅋㅋ
여러분도 한번 맞춰 보세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10.jpg)
우리에겐 큰 명절이 4가지 있어요.
이 페이지에서는 4대 명절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을 나눠 그 뜻과 먹는 음식, 하는일 들을
설명해 주고 있어요.
요즘 아이들은 설날과 추석 정도 밖에 모를 거예요.
한식이나 단오는 잘 모르죠.
서양에는 없는 우리나라의 절기와 띠 그리고 명절들을
재밌게 배우니 저도 많은 걸 얻게 되는 책이예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524/pimg_7231001141914211.jpg)
아이들이 우리나라 어디를 가든 쉽게 접하게 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잘 알아두어야 한다는걸 다시한번 느낍니다.
유적지나 박물관 미술관 등 어디를 가도 12띠 동물들이 있으니까요.
서양에는 별자리가 있지만 우리에겐 12띠 동물이 있죠.
그 유래와 뜻을 알고 있으면 앞으로의 삶에서 든든한 지식창고가 될 것 같아요.
잊고 있고 잘 몰랐던 우리나라 풍속에 대해서 저도 많이 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