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 육아 - 기준을 세우고 한 발 물러나 바라보는
이현정 지음 / 지식너머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준을 세우고 한발 물러나 바라보는 기다림 육아.

책 제목이 너무 마음에 듭니다.

항상 빨리 빨리만 외치며 조급하게 재촉하는 제가 꼭 읽어야 하는 책인거 같습니다.

좋은 엄마가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책에서는 사전적 의미의 좋다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대상의 성질이나 내용따위가 만족할만하다.

성품이나 인격이 원만하다

말씨나 태도가 부드럽다

신체적 조건, 건강상태가 보통 이상이다.

완벽한 엄마는 되기 힘들지만 좋은 엄마가 되기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아이에게는 누구나 민감기가 있다고 합니다.

질서민감기

일상의 민감기

운동의 민감기

쓰기의 민감기

저같은 경우에는 민감기를 지나쳐버린 무딘 엄마였던거 같아요. 둘째가 운동 민감기인거 같기도 하구요

아이의 민감기는 적기 교육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지금부터라도 남은 민감기를 캐치해서 의미있게 시간을 보내고 싶네요


아이의 관심사에 대해 안돼 라고 말하기 보다는 한번 해볼래? 엄마 좀 도와줄래? 등의 언어를 사용하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동시에 엄마와의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하지마, 그만해, 안돼가 반복된다면 아이도 엄마도 두 배로 힘들어 지는걸 명심해야 합니다.

나름 육아에 익숙해지면서 안정된 패턴에 들어서고 있다가 예고 없이 아이의 알수 없는 행동들이 시작되곤 합니다.

알수없이 떼를 쓰고 친구의 물건을 빼앗고 심술을 부립니다.

이 시기의 대부분의 어른들은 지금 아이의 행동을 문제라고 인식하고 개선 방법을 찾기에 몰두합니다. 순하고 말을 잘 듣는 아이가 옳지 못한 행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말을 잘한다고해서 어른들이 하는 모든 말을 이해하지는 못합니다.

아이는 자신에게 쏟아내는 엄마의 말이나 표정, 행동을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오랜 시간 가슴에 담아두게 됩니다. 태어나서 지금까지 애쓰고 노력해왔는데 한순간 욱하는 마음을 참지 못해서 아이의 가슴에 모진 엄마의 모습으로 새겨진다는 것은 정말 슬프고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인생이라는 긴 마라톤에서 좀 더 성숙한 인격체로 자라기 위해서 한걸음 나아가는 중입니다. 어찌할 바를 모르고 실수를 연발하는 이 과정에서 사진의 감정을 분출하는 것일 뿐입니다. 아이들 스스로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서 조율하고 있는데 부모가 감정을 억누르면 절대 안됩니다. 아이는 감정을 조율하는 법을 익히지 못한 채 자신의 행동이 무조건 나쁘다고 여기게 될 것입니다.

위의 키포인트는 4살인 울 둘째는 대해야 하는 저의 태도입니다. 이래서 미운4살이라고 하는구나 싶을 정도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어요. 명심 또 명심해야겠습니다.

 

 

 

아이는 어른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한 적응력을 갖고 있습니다. 

아이의 적응을 돕는 7가지 방법

1. 엄마부터 기관에 긍정적인 마음을 가집니다.

2. 기관에 다녀온 아이에게 오늘 무엇을 했는지, 누구와 재미있게 놀았는지 관심을 가져봅니다.

3. 아이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집니다.

4. 기관에 다녀온 아이를 가슴가득 안아줍니다.

5. 등하원시간을 고정적으로 지킵니다.

6. 적응기간에는 기관에 다녀온 후 집에서 편안한 일상을 보내도록 합니다.

7. 적응기간에는 결석하지 않도록 합니다.

아직은 아이가 어리고 여릴지라도 기관을 다니면서 친구들과 선생님을 만나다보면 엄마가 채워줄 수 없는 또다른 성장을 하게 됩니다. 엄마는 아이가 잘 적응할 것이라고 믿고 기다려 주도록 해야 합니다.


진정으로 아이의 행복지수를 높여주는 것은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입니다.

엄마의 표정, 말 한마디, 손짓 하나에도 아이들이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기억하며 오늘은 어떤 긍정의 씨앗을 아이의 가슴에 심어줄 것인지 고민해 보도록 해야 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