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쨌거나 남자는 필요하다 - 남자와 함께하기로 결정한 당신에게, 개정판
남인숙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어디서나, 어떤관계든 남자는 있다.
그것이 가족이든, 애인이든, 사회생활에서든.


남녀를 떠나서 사람마다 모두 특색이 다르지만,
남녀간의 차이도 분명히 존재한다.
때로는 상대방의 행동에 이해가 가지 않을때가 있고, 대체 속 마음이 뭐지? 하는 생각도 든다.


어차피 남자 없는 세상에서 살 수 없기에, 함께 한다면 잘 알수록 좋으니까.
여자와는 다른 남자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책 내용은 금련과 무송이라는 주인공을 내세워 실 생활에서 충분히 일어나는 헤프닝과 함께

작가가 전하고 싶은 말이 뒤이어 붙는 형식이다.
각 주제의 소제목마다 적절한 에피소드와 함께 남자의 심리와 행동을 풀어나가는 방식인데,
그냥 바로 작가가 전하는 말만듣는 것보다 훨씬 잘 이해가 되고 재미가 있어서 술술 읽혔다.
금련이 뼈아픈 실연을 겪고, 무송이라는 남자를 만나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이런저런 일을 보면서 나 또한 깨닫는게 참 많았다.
주인공과 함께 나이들어가며 좀 더 성숙해지는 느낌이랄까.


다 읽어보니 남자란 존재가 안쓰럽다는 생각이든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남자다워야 한다는 생각속에 길러져온 남자들.
세상은 빠르게 변하는데 정작 남자다워야 한다는 그 압도적인 책임감과 중압감에 눌려있는 남자들.
변화에 따라가기는 너무 힘들고, 본인이 왜 힘든지, 왜 슬픈지 감정을 느끼는것 자체가 힘들고 아픈 사람들.
여자가 보기에는 남자들이 왜 그렇게 남자다운 것에 목숨을 거는지 이해를 잘 못하지만,
그들에게는 그것이 그토록이나 중요했다.


그리고 이해가 되었다.
어렸을땐 그도톡 씩씩하게만 보였던 아버지였는데,
나이드신 이후엔 왜 그렇게 술만 드시면 외롭다고 하시며 눈물 보이셨는지,
힘들때는 왜 잠적하거나 말이 없는 것인지.
때때로 울컥 하며 올라오는 분노까지도.


이렇게 하나하나 알아가니까 그저 모르면서 겪을때보다
좀 더 이해가 된다.
소제목중에 " 여자는 남자를 모른다, 그러나 남자는 남자를 더 모른다. " 이 말에 무척 공감가는 바이다.


나도 앞으로 누군가와 함께 하게 된다면,
그의 마음과 행동을 기쁠때든, 힘들때든 잘 이해해주고 싶다.
잊을만 하면, 이 책을 다시 꺼내들어 봐야겠다.
서로 깊게 이해할 수 있다면, 좀 더 아름답고 평화롭지 않을까.

남자들의 심리를 새로운 시각으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풀어놓은 책이다.

남자를 이해하기 힘들었던 여자들, 남자와 사이좋게 지내고 싶은 여자들,

그리고 본인의 힘든 마음을 잘 이해하고 싶은 남자들 모두에게 좋은 책이다.

[인상깊었던 글귀]

▶ 여자들은 자신의 유능하고 성공적인 모습을 남자가 멋지게 볼 거 라고 착각하기 쉽다.
자기 자신이 남자의 유능한 모습을 보면 매력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자들은 자신의 여자가 얼마나 멋진가에는 별 관심이 없다.
남자들은 스스로 멋진 남자라고 느끼게 만드는 여자에게 끌린다.


- : 나역시 그랬다. 내가 잘 나고 유능하면 남자가 멋지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사람은 어쩌면(특히 남자는) 나 자신이 괜찮은 사람이라고 느끼게 해주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 같다.

▶ 그들의 남자답지 못한 이별의 방식이 실은 남자다움을 부여잡을 수 밖에 없는 연약함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을 이해

한다면 여자들은 어처구니 없는 이별에 처한 황망함을 조금쯤 덜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 30대를 지나는 남자들이 20대 초반 때처럼 쉽게 호감을 사랑으로 연결시키지 못하는 것은 감정이 메말라서라기보다

는 겁이 많아져서다. [중략] 망설임 없이 성큼 다가와 세련되게 사랑을 이야기할 수 있는 건, 거절해도 아무 상관없을 만

큼 당신을 가볍게 생각하는 남자들뿐이다.

▶ 남자들은 정치나 경제에 대해 자주 말하지 않는 여자들을 무시하며 본인들이 하는 말이 거대담론인 척하지만,
실은 자기감정을 스스로 읽어 내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이야기를 자주 대화에 끌어들이는 것이다.

▶ 어려서부터 전사처럼 길러진 남자들은 나도 남도 연약한 모습, 즉 감정을 내 보이는 꼴을 차마 볼 수 없다.
쓰러지고 짓밟히더라도 끝까지 남자답게 꼿꼿하게 버텨야 그나마 술잔이라도 함께해 줄 동지가 곁에 남아난다.
그래서 아파도, 고독해도 자기 안의 남자를 붙들어 둘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