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 열심히 일해도, 아무리 쉬어도, 그 무엇을 사도, 여전히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정희재 지음 / 갤리온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책 표지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열심히 일해도,
아무리 쉬어도,
그 무엇을 사고,
여전히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라고.


순간 망설였다.
내가 이 책을 읽어도 되나?
'나.. 내 생각대로라면 그렇게 까지 열심히 살진 않은것 같은데.
그리고 난 순간순간 행복도 느끼면서 살고있는걸.
그런데도 이 책을 봐도되나?' 하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느낌을 사진 사람만 보라는 법은 없지.
나도 한때 이랬었고, 앞으로도 가끔 느낄 수도 있을 감정이라 생각되어 책을 보기 시작했다.


서점에 가면 베스트셀러 코너를 꼭 가보는 편이다.
그곳에 가면 요즘 사람들이 무슨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대략 보이기 때문이다.
예전엔 한참, 자기계발 서적의 붐이었다.
이렇게 해야하고, 저렇게 해야한다. 그래야 성공한다.
그런책을 열심히 보다보면 힘이 날때도 있지만 왠지 열심히 살지않는 사람은
나쁜사람같고, 가치없는것같고.. 때로는 나 자신이 초라해 보이기도 했다.
책을 읽으면 마구 희망이 샘솟고 나도 책대로 해야지 하면서도-
실제로의 나는 꾸준히 하지못했고,
그에 따른 자책도 하고는 했다.


그런데 요즘은 대세가 "쉼" 이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그렇다.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이라는 (개인적으로 내가 무지 좋아하는) 책도 그렇고,
달팽이가 느려도 늦지 않다 라는 책 제목만 봐도 그렇고.

한국인이 자주 쓰는 "빨리 빨리" 라는 말에 시달리며
내가 어디를 가고있는지 돌아볼 틈도 없이 달려온 많은 지친이들에게
안식처가 되어주는 책들이 베스트셀러에 올라와있다.
그만큼 지금의 사람들에게는 "쉼" 이란것이 간절하다는 이야기겠지.
이 책역시 쉼에 대해 나온다.
그저 막연히 쉬라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구체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를 다양한 경우에 풀어서 이야기해주고있다.


일단 나부터 하나 지킨것을 이야기하겠다.
나? 이 책을 완벽하게 첫페이지 부터 끝장까지 하나하나 다 보지는 않았다.
대략 내가 읽고싶고, 끌리는 부분부터 읽었다.
앞으로도 남은 부분을 다 볼수도, 다 보지않을 수도 있다.
왜? 그건 나의 "군데 군데 골라 읽을 권리" 니까.!
이 책속에 역시 나오는 말이다.
이전부터 그렇게 해오고 있던 부분이었는데 막상 책속에서 같은 부분을 만나니까 반가웠다.


난 이전에 스스로, 혹은 사회가 만든 규칙아닌 규칙같은것에 스스로를 묶어두고 있었다.
책 하나 읽을때도 그랬다.


'책을 읽을때는, 토씨하나 빠뜨려선 안돼.'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는거야'
'책은 구기지 말고 깨끗하게 보는 거야'
"빠트리지 말고 전부 다 읽어야해'
'다 읽지 않으면 리뷰를 쓸 수 없어'
등등....


그런데 지금은?
그야말로 내 맘대로 읽는다.
누가 정해준것도 아니고, 처음부터 끝까지 꼭 다읽어야 할 필요도 없다.
그냥 내 마음가는대로 보고, 다 보고싶으면 다 보고,
읽기 싫으면 읽다 치우고,
마음에드는 문장있으면 줄긋고,
생각나는 거 있으면 옆에 메모해 가면서.
그렇게 읽으니까 훨씬 신이난다.
즐겁게 읽을 수 있다.


작가의 많은 이야기들 중에 책에 관한 권리가 내 입장과 비슷하여 표현해보았는데
느낌이 잘 전달되는지 모르겠다.


이번에는 스마트하지 않을 권리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다.
여러분은 스마트 폰이 마냥 좋기만한가?
나같은 경우는 좋지만.. 뭔가 좀 귀찮기도 하다.
예전부터 새로운 기계 써보는 것은 좋아했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내가 써보고싶은 마음이 들기도 전에
소외감 부터 느끼게 만들었다.
스마트 폰을 쓰는 사람끼리만 통하는게 있었다.
요즘 흔히들 쓰는 카톡이나, 소셜 네트워크 같은거.
많은 사람들이 쓰는걸 안쓰고 있으니 바보가 되는 느낌이었다.
무언가 도태되어버린 느낌이고, 사회에 따라가지 않으면 안되는 느낌이었고,
그 순간 나에게 세상은
스마트폰 쓰는자와 쓰지 않는 자. 이렇게 둘로 나뉘어보였다.
그후엔? 나도 허둥지둥 뒤질세라 스마트폰을 구입하러 갔던 기억이 난다.


"스마트폰을 쓰면 과연 스마트해지는 걸까.
카카오톡, 마이피플, 라인, 트위터, 페이스북을 통해 일상을 나누면
관계가 더 치밀하고 굳건해지는 걸까.(중략)
늘 실시간 올라오는 트위터의 글을 읽어야만 트렌드에 뒤떨어지지 않는 것일까.
우리는 과연 항상 '접속' 해 있어야 하는 피곤함도 감당할 준비가 돼 있는 것일까."
-작가의 [스마트하지 않을 권리] 중에서.


작가의 말을 듣고 생각해보았다.
뉴스기사에서 본것이 어렴풋이 기억난다.
처음엔 좋았지만 갈수록 소셜네트워크의 압박에 힘들다고.
왠지 하루에도 수차례 자주 확인해주지 않으면 안될것 같은 압박.
카톡등의 메시지나 글이 오면 바로바로 답글을 해야할것 같은 압박.
잠시라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무언가를 해야만 할것 같은 압박들...


처음에는 나도 이랬었다. 남들 다 하는거 뒤쳐지지 않으려고,
소셜네트워크도 가입해보고, 글도 남겨보고..
그런데 내가 그것까지 할 정도로 부지런한 사람이 되지 못했나보다.
귀.찮.다. 머리아파. 신경쓰고 싶지 않아.


뭐 네트워킹상으로 사람만나는 일, 물론 아주 중요한데.
실제로 만나지 못해도 안부 물어보기도 하고, 소식도 듣고 참 좋긴한데.
나는 그것보다 실제로 만나 얼굴 한번 보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요즘은 워낙 휴대폰이 이것저것 알람(카톡, 새글, 메시지, 전화 알람등등..)
을 많이 울려대서 사람을 만나고있어도 휴대폰 들여다보기 일쑤이고,
지하철을 타도, 버스를 타도 전부다들 코박고 스마트폰 들여다 보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나는 저러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순간순간 그러고 있는 내모습을 보면
나 역시 같구만. 하며 오싹 하기도 하다.


이전에는 메시지 같은것이 오면 무언가 대답을 해야한다는 압박에 시달렸다.
하기싫든, 하고싶든, 내 일이 바쁘든, 바쁘지 않든 간에
일단 답부터 하고 보았다.
당연히 내 일의 흐름은 깨어지기 일쑤였는데,
한번은 완전 집중해서 무언가를 하고 있는데
카톡 채팅 알람음이 시끄럽게 울렸다.
한두번 울리면 괜찮겠는데, 이건 뭐, 많은 인원이 몰려 저마다 한마디씩 하는데
글은 어느새 100건이 훨씬 넘어가고 있었고,
나는 순간 짜증이 나서 아예 방문밖에 휴대폰을 내놓고 문을 닫아버린 후
할일을 계속 했던 기억이있다. (꽤 한참전의 일이다)
그후로 나는 카톡알람을 무음으로 만들어 놓았고,
지금도 여전히 내가 확인하고싶을때만. 확인하고,
답글 하고싶을때, 답글한다.
늘 '접속' 되어있다는 건 상당히 피곤했다. 적어도 나에게는.


사람들은 외롭다 외롭다 하면서도
네트워킹을 통해서 사람을 많이 사귀면서도,
바로 내 옆에 있는 사람이 누군지는 신경도 쓰지않게 점점 변해가는것 같아서 안타깝다.


또한 요즘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늘 글을 쓰고, 지우고, 자르고, 이어붙이는
글 쓰기가 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제 종이에 글 쓰는걸 어려워하게 되고 있단다.
생각해보니 나도 그랬던것 같다.
며칠전에 옆서를 몇마디 쓰려고 미리 종이연습장에 적어보았는데, 수없이 고쳐썼다.
예전에는 장문의 편지를 여러장 쉽게 잘도 적었는데,
언제부터 내가 이렇게 짧은 글도 적기 어려워진것일까?
이메일, SNS, 웹툰... 모두 편하고 참 좋은 것들이지만,
난 손으로 직접 쓴 편지가 보고싶다. 종이 만화책이 더 좋다.
이런 나는.. 구닥다리인가?


이책을 읽으면 그렇게 빨리 흘러가는 세상속에서 나를 한번 되돌아보고
그저 물살에 떠내려가는게 아닌 잠시 멈추어 서서 내 모습을 바라 볼 수 있다.
또한 말할수 있다.
지금. 좋다고.
지금 이 순간이 가장 행복한 시절이라고.


"이런저런 계산없이 오롯이 그냥 존재하기,
몸과 마음에 힘을 빼고 하고 싶은 대로 놓아두기,
이것만 가능해도 이 지구별에 머무는 재능을 터득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 얼마나 마음편해지고 쉬운가.
멈춘다는 것. 그것은 새로운 방식으로 삶과 소통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는 것을.
결코 쓸데없이 버리는 시간이 아닌것이다.
쉬는 것 조차도 제대로 하지못하고 불안했던 나의 마음을
다시한번 바라 볼 수 있게 해준 작가에게 고맙고,
바쁜일상에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마음의 짐을 덜고 잠시나마 쉬어갈 수 있게 해주는 책이 나와서 반갑다.


개인적으로 그래도 게을러져서는 안되겠지? 하고 조금은 생각하지만.^^
쉬는것과 게으른것은 다른 차원이니까.
제대로 쉬어갈수있게 되어서 좋다.^-^

 

 

 

 

* 책 속 참 괜찮은 구절


"혼자 있겠다고 말하던 그날 밤 처럼 살아.
그때 자네는 이런저런 변명을 늘어놓거나
눈치를 보지 않아서 좋았어.
사람들은 생각만큼 다른 사람 사정에 큰 관심 없어.
그런데 늘 남이 어떻게 볼까, 재다가 일생을 보내지.
그러다 이도 저도 할 수 없는 때가 돼서야 후회하지.
좀 더 나답게 살아도 좋았을 걸, 하고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