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메모의 기술 - 머리보다 손이 먼저 움직이는 (양장본)
사카토 켄지 지음, 고은진 옮김 / 해바라기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대학생활을 시작하면서 부터인가 나에게 건망증이라는 병이 생겼다. 빠르게 돌아가는 바쁜 사회 속에서 주어진 역할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기억해야 할 일이 많아지다 보니 그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긴 병 아닌 병이었다. 이는 비단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이었으며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는 정보화사회의 아이러니한 한 단면이었다. 정신없는 일상을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머릿속을 정리정돈 해줄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인 ‘메모’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그와 관련된 책들도 쏟아져 나왔다. 그 중 단연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한 책이 바로 사카토 켄지의 ‘메모의 기술’이었다. 이 책이 한창 유명세를 탈 때 나 역시 이 책을 읽었고 다양한 메모의 방법을 배웠던 기억이 난다. 약 3년 만에 다시 읽은 이 책은 약간은 식상하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로 별 감흥이 없었다. 반대로 생각하면 책에 있는 내용의 대부분을 알고 있거나 실천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했다. 이번 기회에 내가 하고 있는 메모 방법에 대해 돌아보고 ‘메모의 기술’에 나와 있는 유용한 방법을 첨가하여 더 좋은 메모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해보았다.

우선 내가 하고 있는 메모 방법을 보자. 나는 회사에서 나누어준 다이어리를 최대한 활용하려고 노력한다. 다이어리의 앞부분은 일별 일정을 기록할 수 있게 되어있고 뒷부분은 공책형식으로 되어있다. 일별 일정을 기록하는 곳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곳에는 매일매일 해야 할 일을 사소한 것까지 다 적는다. 그리고 그 일이 해결되면 왼쪽에 V자 표시를 하고 일이 그날 해결이 안 되고 지연될 경우 →표시를 한 후 다음날 일정에 적어놓는다. 또한 약속은 맨 위에 빨간색으로 표시해주어 바로바로 알아 볼 수 있도록 했다. 맨 아래 칸에는 수입지출 내역을 적어 다이어리와 가계부를 통합시켰다. 뒷부분의 공책형식으로 되어있는 곳에는 그때그때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회의내용, 인터넷에서 발견한 정보들, 영화나 책을 읽고 적은 감상문 등을 적는다. 그리고 다이어리 맨 앞에 목차를 만들어 몇 페이지에 무슨 내용이 적혀있는지를 알 수 있게 했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지만 이 방법은 나의 건망증을 보완해 주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이렇게 해야 할 일을 항상 적어놓다 보니 깜빡하고 못하는 일이 많이 줄었고 생활에 효율성도 증가했다.

그러나 ‘메모의 기술’을 읽으면서 내 메모법의 두 가지 취약점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메모하는 시간을 따로 마련하라’는 것이다. 메모를 하면서 건망증 때문에 실수하는 일은 줄었지만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거나 정리하는데 있어서는 깔끔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아침에 업무를 시작하기 전 10분정도 시간을 들여 오늘 할 일이 무엇인지 보고 그에 대한 우선순위를 매겨서 일을 해나갔다면 단순히 메모만을 했던 것 보다는 훨씬 효율적이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업무를 끝마칠 때에도 오늘 했던 일을 다시 돌아보고 고칠 점이 무엇인지 1분만이라도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둘째는 ‘메모를 재활용하라’라는 것이다. 나는 이제껏 메모를 재활용해보지 못했다. 언제나 적는데 급급했지 그것을 다시 볼 생각을 안 했다. 내가 적은 정보들을 가끔 다시 보면서 가치 없는 것들은 버리고 유용한 것들은 실제로 활용해 볼 때 그 정보는 나의 것이 될 것이다.

메모는 분명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자기계발을 위해서도 좋은 방법이다. 좋은 방법은 머리로만 생각하지 말고 실천할 때 비로소 진짜 좋은 방법이 된다. 위에서 얘기한 메모하는 시간을 따로 갖기와 메모를 재활용하는 것은 꼭 실천해서 나의 재산으로 만들 것이다. 그 밖에 독서할 때 떠오르는 생각을 책의 여백에 적는 방법과 꿈노트를 만들어 꿈에서 나왔던 기발한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방법도 꼭 실천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