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요리책이라기 보다는 음식을 먹는다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에 대한 길잡이가 되는 책이자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일깨우는 책입니다.

사람에게 가장 자연스럽고 세상에 해를 끼치지 않는 방식이 무엇인지를 보여줍니다.

육식이 아닌 채식, 화식(불로 굽고 끓인 음식)보다는 생식이 인간에게도 땅과 만물에게 이롭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인간은 채식을 할 수밖에 없는 신체구조를 지니고 있고 육식은 동물뿐만 아니라 인간자신에게도 해롭기 때문에 채식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소금과 설탕을 너무 많이 넣어서 '거짓허기'를 만들고 과식을 하고 그렇게 해서 생긴 비만과 질병을 고치려고 병원을 다니고 다이어트상술에 휘말리게 됩니다. 

한번에 한두가지 음식만 먹는 식사법도 참 신선했습니다. 편식이 아닌 야채와 곡식을 위주로 한 두가지 요리만 먹어도 충분한 영양섭취가 됩니다. 외식산업이 우리 몸을 지배한지 오랩니다. 많이 팔려야 하니 맛을 찾게 되고 소금과 설탕, 조미료가 범벅된 음식으로 몸을 망치고 있는 현실입니다. 결혼식에 가보면 언제부턴가 다 부페식장입니다. 100가지도 넘어보이는 음식가짓수에 어지럽고 접시에 가득채워서 몇번을 갖다먹고, 한끼 음식도 넘는 양을 남겨서 버리는 모습을 보면서 이 책을 다시 생각합니다. 

 헬렌 니어링이 제시하는 요리들은 기름끼가 적습니다. 그리고 간단하니 설거지도 쉽습니다. 물을 아끼고 수고를 덜죠. 야채위주에 곡식만 먹어도 건강하다는 것을 그들이 삶을 통해 증명했습니다.

 육식을 단호히 거부하고 살기가 한국사회에서는 참 힘들죠. 나름에 타협안을 제시해봅니다. 음식에 우러나는 고기육수 예를 들면 된장찌개의 멸치, 냉면의 육수 같은 것은 그냥 먹고 일부러 고기를 먹으러가는 일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우는 겁니다. 그러면서 인간의 목숨과 동물의 목숨을 하나로 보는 세상으로 터벅터벅 가는 것이죠.  

단순하고 소박한 삶의 원칙은 먹는 음식부터 시작하여 입는 옷, 사는 집에 적용시키고 싶습니다.

책의 후반부에 저자가 제안하는 음식들은 대부분 낯설지만 스프를 우리네 된장국, 샐러드는 각종 김치나 나물로 본다면 채소와 곡물 위주의 한국음식이야말로 헬렌 니어링 여사가 강조하는 소박한 식사의 전형이 아닐까 합니다. 그가 생전에 한국의 전통시골밥상을 대할 기회가 있어다면 무릎을 칠 겁니다. 바로 이거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