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세균과 공존해야 하는가 - 왜 항생제는 모든 현대병의 근원인가?
마틴 블레이저 지음, 서자영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저자 마틴블레이저는 뉴욕대학교에서 의학대학 학장과 미국 전염병 학회 회장을 역임하는등 상당히 많은 경험과  연륜이 있는 학자인거 같다. 특히 박테리아와 관련해서 30년이상을 연구해온 의학박사라고 한다.
책은  각종 세균과 함께 하는 인간에 대해 이야길 해놓은만큼
알아듣기 힘든 의학용어들이 대거 등장함에 있어 살짝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으나
읽다보니 어느정도 의학용어등에 대한 익숙함이 생겨났다.

작가가 말했듯이 우리 몸은 하나의 우주이고 그 공간속에서 살아가는 미생물들은 또하나의 생명체라는것이다.
수많은 생명체-미생물,세균,는 서로간이나 우주 공간(우리몸)에게 까지 여러가지 영향을
끼치며 공동으로 진화해 오고 있다는것이다 .우리가 자연에 수긍하면서
그 변화에 따라 조금씩 진화되어 가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항생제를 우리 몸에 투여함으로써 우주공간의 생명체에는
불균형이 발생하고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수 있다는 저자의 논리에 공감한다.
우주인 우리의 신체에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변화하게될 우주공간
그속에 살게될 세균과 무생물들도 당연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수 없겠다. 

 

가장 궁금했던 것은 병원균이 어떻게 생겨나고 또 어떻게 퍼져 나가는지에 대해서였는데
사실 병원균은 우리몸의 상태가 건강하고 면역이 잘되어 있으면 아무런 문제가 일어나지 않지만
이러한 균형이 깨지게되면 병원균이 활성화되어 병에 걸린다는것이다.
우리 주변엔 건강하다가도 어느날 갑자기 죽는사람들 또 오랫동안 지병을 앓다가
저세상을 가는 사람들등 다양한 사례들을 볼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내용은 병원치료중에 병이 악화되어 급작스럽게 사망하게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는 공감이 간다. 내가 알고 있는 주변인물도
원래 가족이력으로 암을 갖고 있어서 평상시에도 꾸준하게 검진을 받았던 사람이다.
정말 건강하고 멀쩡하게 잘 지냈던 사람인데
담석이 걸려서 담석 제거 수술하러 갔다가 몸의 건강이 악화되어
암에 걸리게되었다 그렇게 두세달 치료하다 결국은 세상을 달리했다.
이점에서 본다면 병은 무조건 약을 통한 치료보다는
스스로 건강을 위한 운동과 잘먹고 몸에 좋은 음식물 섭취등으로
우선 지켜야 하는게 아닌가 싶다. 병원은 그다음 최악의 경우에나 문을 두드리는게
우리몸은 그게 외려 좋을것 같았다.

 

이책을 읽으면서 다양한 내 몸속의 증세에 대해서도 원인을 알게 되었고
그와 더불어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자연스럽게 알게되었다.
우리몸속의 다양한 세균 더나아가 우리몸을 이해하는데
많은 지식을 축적 시켜준 책이라 할수 있겠다.
결국 미생물과 우리 몸의 공생관계는 필요한 것이고 이를 깨트리는 항생제의 남용으로부터 스스로
벗어나야 할것이다.
미생물과 세균은 앞으로 우리가 숙제로 안고 가야할 미래 산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