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공에 기대선 여자 빙허각
곽미경 지음 / 자연경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이름은 이선정, 

수어사댁 막내딸로 태어나 영특함이 뛰어나 그 당시의 여성들과는 다른 점을 어렸을 때부터 보인다.

어려서부터 글 읽기를 좋아하던 그녀는 한번만 읽지 않고 반복해서 읽으며 깨달음을 얻고, 아버지인 이창수는 그런 딸의 모습이 기특하기만 하다.

그녀를 시샘하는 이가 하나있었으니, 그는 바로 그녀의 오빠인 이병정은 그녀가 그저 좋은 곳으로 시집가서 자신의 출세의 앞길에 도움이 되기만을 바라고 있다는 점에서 그 당시의 여자형제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짝 엿보인다.

또한, 배움의 욕심으로 인해 청어를 배우는 모습, 연경에 가는 모습 등이 나오는데 이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도세자, 영조, 당시의 세손인 정조의 이야기도 살짝 나온다.



선정이란 이름 말고도, 자신이 직접 지은 이름 빙허각,



“기댈 빙(憑), 빌 허(虛), 집 각(閣) 빙허각 이온데 ‘허공에 기대어 선다’라는 뜻으로,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자신이 삶의 주인이 되어 살아가겠다는 각오를 담은 이름입니다.”



자신이 지은 이름대로 나이가 차고 혼처를 정하는 순간에서도 빙허각은 자신의 의지대로 결혼을 한다는 점에서 그 시대에서 보기 드문 여성임이 분명하다.


빙허각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한 인물이 있으니, 그는 바로 그녀의 남편인 서유본

그는 그녀의 학문을 배움에 있어 외조를 하며 버팀목이 되어준 사람이기도 하다. 또한 빙허각의 시댁 자체가 그녀에게 있어서 글을 배우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그 당시 여성의 삶을 강요하기보다는 이런 시댁의 도움이라던 지 남편의 외조로 그녀의 능력이 더 발휘된 게 아닌가싶다.


책을 읽으면서 그 당시에도 기하학과 수학계열을 배운다는 점, 또 여성인 빙허각이 시동생을 가르치는 점도 흥미로웠다. 보통 훈장님이나 남성이 가르치는 게 일반적일 텐데 획기적인 상황이 아니었나싶다. 또, 약을 모르고 태워먹은 동서를 위해 자동약탕기를 개발하고, 활쏘기를 가르치는 남편 또한 그 당시에 볼 수 없던 상황이 흥미로웠다.


전체적으로 유교사상이 강한 조선시대에 이런 삶을 산 빙허각의 이야기는 전혀 딱딱한 점이라던 지 지루한 점 없이 그저 흥미롭고 빠르게 읽을 수 있다는 점, 조선시대의 여류학자로 편견을 깬 빙허각의 삶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