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리뉴얼판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혹하는 글쓰기'는 공포소설로 유명한 스티븐 킹이 글쓰는 방법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적은 책이다. 사실 보통 창작론 책은, 현 국문과로서 말하건데 그렇게 재미있지 않다. 은유, 비유, 풍자, 뭐 이런 시적 개념에 대해 문학작품과 함께 다루는 책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티븐 킹의 창작론 책은 달랐다. 뭐가 달랐냐면, 재미있다. 창작론 책이 아니라 약간 옆집 할아버지가 '내가 말이야...' 이러면서 시작하는 옛날 이야기를 듣는 느낌이다.(그렇다고 내용이 옛날 이야기라는 것은 아니다.)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초반부는 스티븐 킹 자신이 작가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자서전 형식으로 서술한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스티븐 킹이 대단하다고 느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남다른 작가적 기질을 내보였던 것 같다. 학교에서 글을 써서 실제로 친구들에게 팔았으며, 그것이 문제가 되어 몇 가지 곤경을 겪었고, 성인이 되어서는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 공장에 다니면서, 빨래를 하면서도 짬을 내어 글을 썼다. 초반부를 읽으면서 나는, '과연 나였다면 이 모든 고난을 감내했을 것인가?'라는 의문이 끊임없이 들었고, 내 답은 한결같이 '노'였다. 솔직히 조금 씁쓸했다. 그래도 내 인생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작가'라는 꿈이, 어느새 이렇게 빛바랬나 싶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다른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긴 하지만!

초반부 이후부터는 창작에 필요한 자세와 작가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도구들, 예컨대 '연장'으로 비유되는 '낱말'의 영역들에 대해 말해주고, 세 번째 부분이 바로 저 '창작론'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 내게 아주 충격적이었던 영화 '미저리'의 원작인 소설 '미저리'를 쓸 때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정말 흥미롭다. 스티븐 킹의 창작론은 여러모로 고정관념을 깨주는 부분이 많다.



그중 인상깊은 부분은 '일'이 중요하다는 부분이었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중 하나인 '미스 함무라비'의 원작인 소설 '미스 함무라비'도 현직 판사인 문유석 판사님이 쓴 것으로 기억하는데, 스티븐 킹이 강조하는 것도 이런 부분인 것 같다. '자기가 잘 알고 있는 분야, 즉 일에 대해 쓸 것.'

여담이지만, 많은 책들이 '잘 아는 것부터 쓰세요.'라고 조언한다. 솔직히 이런 조언을 볼 때마다 내가 드는 생각은 이런 것이었다. '잘 아는 게 없는디?' 그런데 스티븐 킹은 이런 부분도 짚어줬다. '잘 아는 것'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는 것을 말이다. 만약 내가 SF 소설을 좋아한다면, 그 분야를 써보라는 것이다. '실제로 경험한 것'만을 아는 것으로 규정하던 나에게는 꽤나 좋은 조언이었다.



이 마지막 페이지를 올린 것은, 앞으로 내가 리뷰할 '삶을 변화시키는 질문의 기술(마릴리 애덤스/김영사)'에 나온 '학습자'적인 태도를 스티븐 킹이 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 책을 읽은 것은 '삶을 변화시키는 질문의 기술'을 읽고난 다음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조금 놀랐다. 무언가를 성취한 사람들의 태도에는 정말 공통된 점이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