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
엔도 슈사쿠 지음, 송태욱 옮김 / 포이에마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영사의 9월 신간 중 하나인 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엔도 슈사쿠/포이에마). 포이에마도 김영사의 브랜드 중 하나인 것 같다. 나는 "저는 소설가라서 작은 이야기밖에 할 수 없습니다."  이 구절에 매료되어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 「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는 작가인 엔도 슈사쿠(1923~1996)가 생전에 했던, 6번의 강연을 묶은 강연록이다. 그는 기독교 작가이며, 대표작으로는 17세기 일본의 가톨릭 탄압을 소재로 삼은 「침묵」이 있다. 책 전반에서 그가 말하는 것을 보면, 그 당시 일본에서 기독교 문학은 거의 불모지나 다름 없었던 것 같다. 말하자면 그는 그 기독교 문학의 개척자인 셈이고, 그래서 그런지 꽤 화려한 수상 경력의 소유자이다.

내게 인상깊었던 구절은 책의 서문에 나오는데, 정확히는 이렇게 시작한다.

 

저는 대설가(大說家)가 아니라 소설가라서 작은 이야기밖에 할 수 없습니다. 이번에 「침묵」(1966)이라는 소설을 발표했는데, 그 소설이 어떻게 완성되었는지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정말 가볍게 시작하지만, 사실 그가 하는 강연을 통해 하는 이야기는 그렇게 '작지는' 않다. 강연에서 그는 다양한 기독교 문학 작품을 토대로 강연을 진행하는데,  그의 강연을 꿰뚫는 주제는 '인간의 구원 가능성'이다. 약하고, 슬프고, 더러운 인간임에도 구원받을 수 있는가? 그 단점 투성이인 인물들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를 주로 말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게 막 종교적이지는 않다. 중립적인 입장에서 말하고 있는데, 그런 그의 입장을 잘 보여주는 구절이 있다. 

 

 작가는 그리스도교를 선전하거나 옹호하거나 신을 찬양하기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면서 곁다리식으로 기독교 문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어떤 문화적 차이가 있는지, 다시 말하면 기독 문학을 대하는 일본인의 이해 정도와 유럽인의 이해 정도의 차이까지 짚어주기도 한다.(책에서는 그렇게 비중 있게 나오지는 않지만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나는 이 책을, 음... 모든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솔직히 말하면, 책 편식이 심한 사람들에게는 조금 지루할 수도 있는 책이다. 하지만 당신이 '작가지망생'이라면? 혹은 적어도 '작품'을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 그렇다면 나는 당신에게, 꼭 이 책을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그는 작가가, 아니, 이 시대로 말하자면 '유의미한' 작품을 생산하고 싶은 '크리에이터'가 지녀야 할 태도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인간을 응시하는 것이 작가의 의무라고 했습니다.

어떤 소설이든 자신이 갖고 있는 이데올로기, 종교적이거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를 위해 등장인물의 내면이나 행동을 왜곡해서 그리는 것은 결코 용납되지 않습니다.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등장인물의 자유를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