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스트 데이즈 ㅣ 제프 다이어 선집
제프 다이어 지음, 서민아 옮김 / 을유문화사 / 2025년 6월
평점 :
제프 다이어는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사진, 문학, 재즈, 역사 등 다양한 소재로 다양하게 글을 쓴다.
'그러나 아름다운', '지속의 순간들' 의 전작 등을 통해서
한 사물이나 생각 등을 집요하고 아름답게 쓰는 작가라는 것을 알고
이번 신작의 서평을 지원하게 되었다.
이 책의 소재는 도어즈로 문을 연다.
그리고 영국인 답게 테니스를 좋아하는지 앤디 머리 선수의 은퇴이야기,
축구이야기 등도 나온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나는 결혼식을 올렸고, 결혼식 다음날
참외가 침수한 지역 성주에 가서 2박 3일간 모텔 생활을 하며 출장을 다녀왔다.
얼굴은 까맣게 익었고 늘 취해있는 상태로 바보같은 질문을 하였다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불멸을 위해 크나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 살아 있는 동안 수차례 죽어야 한다."
p.101
니체가 말한 이 언급은 제프 다이어가 숱하게 니체를 언급하며 영원회귀 사상에 대해서도 말한다.
우리는 마치 삶의 끝없는 고리 안에 갇힌 것처럼 그 순간의 고리에 잠시 갇히게 된다, 고 적고 있다.
끝날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이 말은 야구선수 요기 베라의 유명한 말이다.
가끔 이 말을 떠올리며 시험의 실패, 취직의 실패 등을 겪을 때도 되뇌었지만
사실 끝과 실패는 다른 말이라고 생각한다.
제프 다이어는 우리가 끝이라고 생각하는 어떤 관념과 이루어진 상상에 대해
거침없이 적는다. 시종일관 유머감각을 잃지 않으면서 진지하게.
내가 다루는 주제는 말할 나위 없이 중단하기다.
이것이 나를 계속 나아가게 만든 주제다.
내가 끝났다는 믿음이 바로 나를 계속하게 만든 힘이었다.
책을 읽다 보면,
한때 재미나게 읽었던 작가의 이름들이 나온다.
제임스 설터, 츠바이크, 잭 케루악 등
재미없는 책을 계속 묵묵히 읽어낼때 필요한 자제력 말이다.
나는 그 자제력이 없다.
고통을 참고 운동하면 언제나 더 큰 고통을 유발하는 법이다.
그 고통 전에 운동을 멈췄다.
나의 끝은 언제나 쉬운 편이었다.
그래서 제프 다이어가 이 책에서 말하는 라스트 데이즈를 다루는 방식은
나에겐 너무 쉽다. 그대로 멈추면 되는 것. 그렇다고 멈추면 보이는 것들이라고
말하는 한 스님의 말은 전혀 동의할 수 없다. 안멈춰도 안보이는 것들은 멈춰도 보이지 않고
안멈춰도 보이는 것들은 멈춰도 잘 보이지 않았다.
터널같이 갑갑했던 순간들. 끝으로만 덮여있던 사방의 문들.
연극이 끝난 후 노래를 듣고 그 귀라는 감각이 마지막까지 살아있다는 이야기를 상상하며
얼마 전 집앞에 애용하던 CU가 문을 닫았던 순간을 생각한다.
그 끝은 이것이 끝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나의 편리는 이것이 끝이다, 라고.
이런 잡소리를 하는 이유는
제프 다이어의 라스트 데이즈가 이렇게 끝을 다루는 방식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한편으로는 출판 관계자의 방식대로 고도화로 정형화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책을 읽으면서 나의 끝이 난 꿈들. 성장하지 않던 순간들에 대한 답답함.
하루키의 책 '세상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같은 끝에 대한 말 들을 생각했고
이 폭염의 끝은 어디에 서 있는 것인가. 나의 관심사의 끝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계속 메모해보았다.
제프 다이어도 그런 시간을 독자들에게 생각해 보라고 한 것 같다.
여름과 끝을 다루는 내용을 보면서 정말 멋진 작가라고 생각되었다.
왜냐하면 잊고 지냈던 이성복 시인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중략)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라고 하던 시... 이 폭염의 이 중년의 어중간함 속에 쓰러지지 않고 의지를 붙잡는 새벽이 되었습니다.
내 옆에 한 사람이 더 생겼고, 라스트 데이즈. 라스트 댄스 등등 정말 수 많은 라스트를 함께 할 시간과 손을 잡아 줄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낮은 지대에 머물지 말라! 하늘 높이 오르지도 말라!
세상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곳은 중간 높이에서니까.
나의 중년이 그 중간 높이에서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풍경이었으면 좋겠다.
교장선생님의 말씀, "끝으로 한마디만 더하자면..."
그래서 그 끝에 여러학생들이 쓰러졌었다.
이 책도 그런 방식으로 제프 다이어의 글 맛을 본 독자들이 여럿 쓰러졌으면 좋겠다.
라스트 데이즈는 그런 면에서 참 죽이는 책이다! 이 폭염의 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