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이끌려 읽게 된 책이다.
제목 마저 어딘가 아린 느낌이 났다.
의사였지만 암에 걸린후 쓰게 된 책이라 그런걸까?

서른여섯 젊은 나이에 폐암에 걸려 사랑하는 딸과 아내를 남겨두고 떠난 신경와과 의사의 회고록이다.

이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져 전개 된다.
1부에서는 저자인 폴 칼라니티의 대학 생활과 신경외과의가 된 이야기를 담았다.
폴은 대학에서 학사, 석사 과정을 거치는 동안에도 인생의 의미와 죽음에 깊은 관심을 느끼고 있었다.
폴은 스텐퍼드 의학 전문대학원에 입학하여 의과 대학원 4년 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마쳤고,
신경외과 레지던트 생활을 하며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업적을 인정받아 최우수 연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여러대학에서 교수 자리를 제안받는 등 앞날이 보장된 그런날이 눈앞에 펼쳐질 무렵...
폴은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듣게 된다.

2부에서는 그가 폐암 말기 판정을 받고 투병생활을 하는 이야기다.
문학에 관심이 많고 영문학 전공이였지만 그는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기에 죽음을 뒤쫓아 붙잡고, 그 정체를 드러낸 뒤 눈 한 번 깜빡이지 않고 똑바로 마주보기 위해 신경외과를 택했다.
그에게 신경외과는 뇌와 의식만큼이나 삶과 죽음과도 아주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였다.
암이였지만 약물치료로인해 조금의 호전도가 보이자 그는 망설임 없이 병원으로가서 수술도구를 잡았다.
이게 가능할까 싶으면서도 옆에서 응원해준 아내 루시가 대단하단 생각도 들었다.
의사로서의 자부심 또한 대단했던것 같다.

죽음은 사람을 불안하게 만들고 그 가족마져 흔들리게 만든다. 그러나 풀과 아내 그의 가족들은 전혀 흔들림없이 폴을 응원했으며 지켜 주었다.
그는 혈액 희석제 때문에 피부에서 계속 피가 났다.
하지만 외모가 다소 추해지더라도 살아있다는 사실이 기뻤다. 아내 루시는 지저분해진 그의 피부도 예전처럼 똑같이 사랑한다고 말해준다.
살아있음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다시 한번 절실히 느끼는 대목이었다.
힘든 투병생활속에서 그의 딸아이가 태어났고 폴은 딸로인해 자신의 아픔도 가시는것같은 느낌을 받는다.
그는 딸의 커가는 모습을 보지 못할거라는 생각에 가슴아파했다.폴은 점점 더 무기력해져 갔고, 그래서 폴은 딸에게 남길 편지를 썼다.

' 네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무슨 일을 했는지, 세상에 어떤 의미 있는 일을 했는지 설명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면, 바라건대 네가 죽어가는 아빠의 나날을 충만한 기쁨으로 채워줬음을 빼놓지 말았으면 좋겠구나. 아빠가 평생 느껴보지 못한 기쁨이었고, 그로 인해 아빠는 이제 더 많은 것을 바라지않고 만족하며 편히 쉴 수 있게 되었단다. 지금 이 순간, 그건 내게 정말로 엄청난 일이란다. ' (234 쪽)

가슴이 아팠다.
딸이 커서 이 글을 읽으면 아빠는 비록 옆에 없지만 슬프기는 하지만 행복을 느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폴은 책을 완성하진 못했다.
그래서 아내인 루시가 마지막을 완성 시켰다.
루시는 책을 완성하면서 폴을 더 많이 알아갔다고 했다. 그의 폴에대한 사랑이 감동적이었다.
그리고 놀라웠던건 폴의 죽음에 가족들의 태도였다.
폴을 죽어가는 사람이 아닌 현재 똑같이 살아가는 사람으로 대했다는거다. 몸도 안좋은데 무슨 일을 하느냐, 그냥 쉬어라, 우리가 할테니 쉬기만 해라.
대부분의 환자를 대하는 태도 아닌가...
물론 속으론 슬프고 괴롭고 힘들었겠지만 본인인 당사자를 위해서 가족의 노력에 감탄했다.

문득 죽음에 대처하는 방법도 생각하게 되었다.
지켜보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건 당사자인 것이다. 그의 말을 존중해 주는게 진정 그를 위하는게 아닌가 한다.

이 책은 다른 보통 의사들의 에세이에서 느낄 수 있는 딱딱함이라든가 틀에박힌 글이 아닌 인간적이고 아름답고 먹먹함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해주는 그런 글이었다. 읽는 내내 가슴 아프단 생각이 떠나질 않았다. 만약에 투병을 이겨내고 살아 계셨다면 그의 손을 거쳐 생명을 찾은 환자들이 얼마나 많을까, 얼마나 지극으로 환자들을 대했을까...이런 좋은 분이 요즘같은 각박한 현실에 없음을 가슴아파했다.
죽음을 정면으로 마주한 그에게 대단함과 존경을 느꼈다.


솔직하고 진실한 폴의 글에 정신없이 읽어갔다.
이 책은 삶과 죽음에 많은 생각을 해주게 하며 가족의 소중함과 곁에 있는 사람의 소중함을 다시금 느끼게 해주는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추천해주고 싶은 책인만큼 감동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