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제목에 확 끌려서 읽게 된 책이다.
페미니즘 도서로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책이기도 하다. 리베카 솔닛은 예술평론과 문화비평을 비롯한 저술로 주목받는 작가이며 환경,반핵,인권운동에 열렬히 동참한 운동가이다.그래서인지 글의 억양이라든가 내용은 조금은 날카롭고 당차다랄까?
저자는 초반부에 자신의 경험담을 시작으로 '맨스플레인'을 겪은 웃긴 이야기를 담아낸다.

<맨스플레인이란..남자들이 무턱대고 여자들에게 아는 척 설명하려 드는 현상 이다.>

저자는 이 일화로 시작한 글이 강간과 살인,여성 혐오,폭력등 젠더와 페이니즘의 대한 이야기들을 예를 제시하면서까지 날카롭게 쏟아 낸다.

툭하면 붉어지는 성폭행이나 강간,폭력에 수많은 여성들이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어있고 겁을 먹고있다.그러나 그에대한 방법이나 변화는 너무나 미흡하기 짝이 없다.
심지어 여자라서 안돼.여자가 무슨 운전이냐?.
여자는 그냥 시키면 시키는대로 하면 돼.여자가 뭘 알겠어~. 여자는~, 여자가~. 라는 식의 여성을 비하는 하는 일은 비단 어제 오늘 일만은 아니다.
아직까지도 현재를 살아가면서 피해를 보는 쪽은 여성이 더 많다.일명 성폭행을 당한(피해자) 여자는 죄인 취급을 받는 반면(행동을 어떻게 했길래 등) 폭행을 한(피의자)남자는 옹호의 대상이 되기도하는 그게 현실이다.그러나 강간이든 폭행이든 살인이든 저지르는 쪽은 여자보다 남자들이 더 많지 않은가...
남녀의 동등함을 말하는 여성들을 무시하고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하는 남성들은 젠더의 의미를 알고 떠들어 대는건지...
직장내에서도 아직까지 여성은 급여의 차별을 받는다.
결혼을 하면 나의 아이는 여성이아닌 아버지의 성을 따른다.아들을 낳으면 작명소나 집안식구들이 머리 맞대고 좋은 이름을 고르는반면 여자를 낳으면 심지어 이름조차 갖지 못했던 시절도 있었다.
이러한 것이 젠더의 문제다.
저자는 그렇다고 모든 남성을 비판하는건 아니다.

가정폭력을 강간,살인,성희롱,협박과 별개의 문제로 취급하지 말아야 하고, 온라인과 가정과 직장과 거리를 전부 아울려야 그렇게 전체를 보여야만 패턴이 뚜렷해진다라고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닌 미국이란 개방적 국가에서도 여성혐호와 성폭행이 얼마나 빈번히 일어나는지에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솔닛은 미국에서 9초마다 여성이 폭력을 당하고 여성의 3분의1이 성폭력을 당한다고 말한다. 수많은강간이 실제로 저질러져서 여성은 일상적으로 두려워하며 살아가는데도 많은 남성은 '모든 남자가 강간범은 아니다'라며 각각의 사건을 예외로 간주하려 든다고 말한다.이런 상황속에도 사람들은 젠더를 쏙빼고 다른 쪽으로만 문제를 설명하려 든다.
솔닛은 이 책에서 희망을 말한다.
어두운 사건과 절망이 가득할지라도 우리가 이만큼 걸어온 것을 자랑스러하고 앞으로 걸어갈 길이 먼 것에
압도되지 말자고 말이다...

가부장적인 남성중심적 사고방식이 아직도 깔려있는 시대에 목소리한번 크게 내지 못하는 여성의 갸날품이 느껴진다.(그래도 많이 바뀌기는 했지만 말이다.)
페미니즘이 시작되기전의 여성들이 억압 받고 자유롭지 못했다면 비록 지금은 여성들이 남성들과 동등함을 주장하고 자유로움을 누리며 목소리도 높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젠더의 차이속에서 살아가고 있는건 앞으로 풀어내야할 숙제인거 같다.

책은 술술 잘 넘어가진 않는다.
천천히 이해하며 읽어야하고 통계와 제시가 많아서
느리게 읽어야 머리에 들어온다.
통계를 읽다보면 놀라운 사건이 너무나도 많은거에 거듭 놀란다.그만큼 예나 지금이나 젠더와 권력이 난무했었고 여성의 자리는 작고 갸날프다.


남자!여자!가아닌 동등한 존재..
서로가 이해와 존중으로 더 존재감을 누리고 함께 나아가는 삶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