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의 타자기 미스티 아일랜드 Misty Island
황희 지음 / 들녘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봐도 겉으론 전형적인 부잣집 사모님처럼 사는 서영. 하지만 서영은 시집에서는 자신의 존재조차 잊고 살아간다. 수시로 시어머니와 남편으로부터 폭언과 폭행을 당하고 심지어 창고에 갇히는 일도 허다하다. 그렇다고 친정이 보듬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딸을 이용해 돈을 뜯어내는 친정 식구들. 친정에서는 돈의 미끼로, 시집에서는 분풀이 대상으로 살아가는 서영. 아이들 때문에라도 죽지 못해 살아가지만 이젠 기력마저 없다.



청각장애가 있는 지하.

이런 엄마의 모습을 볼 때마다 지하는 더욱더 독해질 수밖에 없다. 그런 지하가 유일하게 도피할 수 있는 것은 백일몽을 꿀 때다. 그곳에선 자기만의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고, 그래서 견디고 더 단단해질 수 있었다. 오히려 백일몽이 지하와 엄마를 살리는 세계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리를 못 들어도, 선생님의 무시에도, 주위 사람들에게 웃음거리가 되더라도, 좋아하는 남자에게 용기 내여 한 고백이 조롱거리가 돼버렸어도, 소설 공모전에서 몇 번이나 떨어져도, 지하는 놓지 않았다. 그럴수록 더 단단해져 갔다. 그렇게 지하는 자신의 꿈인 작가의 길을 묵묵히 가면서 자기가 설 수 있는 단단한 발판을 다져갔다.



엄마에게 냉혹하게 대할 수밖에 없었던 지하.

지하는 나약한 엄마는 죽고,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원하는 삶을 쟁취하는 강한 엄마로 다시 태어나길 바랐다.

그렇게 해서라도 엄마를 살게 하고 싶었으리라.

그렇게 해서라도 엄마를 지켜주고 싶었으리라. 살리고 싶었으리라.

지하가 기특하면서도 불쌍했다. 안쓰러웠다. 짠-했다.



등장인물들의 묘사가 어찌나 실감 나게 다가오던지......

소설 속의 인물들이 아닌 실제로 내 주변의 인물들처럼 느껴져서 재미를 고조시켰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하의 할머니, 아버지, 현실에도 아주 똑같은 부류들이 있다. 지하 엄마 역시. 소설 속의 소설은 또 어떻고(오히려 '조용한 세상'에 더 빨려 들어가더라는~).



내가 황희 작가님의 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는 환상, SF, 판타지가 섞여도 과하지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것에 취약한 난데 작가님의 이야기는 오히려 더 흥미를 주고 빨려 들게 하는 마력이 있는 듯하다. 기존의 책들도 환상, 판타지가 곁들여 있는데도 아주 재밌게 읽었으니 말이다.



깊은 울림이 있는 <기린의 타자기>.

가정폭력의 희생자란 멍울을 가지고도 자기의 꿈을 위해 한 발 한 발 다져가는 어린 아이의 성장기로도 볼 수 있는 작품. 책 속 지하의 말들이 가슴에 콕콕 와 닿아서 더욱 아프게만 느껴졌지만 나역시 지하의 말들이 허투로 들리지 않아 가슴에 새겨 넣었다.



엄마와 딸이 함께 읽으면 참 좋을 책일 것 같다란 생각이 들었다.​





엄마와 지하, 우탁과 예지, 모두 모두의 앞날에 꽃길만 펼쳐지길~^^

지하는 이든을 만났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