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이 없는 소녀
황희 지음 / 네오픽션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이>찢어 죽여도 시원찮을 아동성폭행범 백만우.

도이는 그런 악마같은 놈에게 여덟 살의 인생이 갈기갈기 찢겨져 나갔다. 목숨은 건졌지만 자기로 인해 힘들어 하는 부모를 생각하면 사는 게 사는 것이 아니다. 이 숨막히는 생활이 견디기 힘들 땐 자애를 하는 도이. 그리고 그때 다친 오른 쪽 눈으로는 그 공간에서 있었던 과거의 환상을 보게 된다. 이걸 후유증이라 해야 할까, 능력이라 해야 할까... 자신의 오른 쪽 눈의 능력을 알게된 도이는 자신처럼 과거로부터 고통받는 사람들의 잔류사념에 접촉해 새로운 평형세계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죽음으로부터 한 모자를 구하게 되는데...



<지석>의붓아버지와 친형으로부터 성폭행을 당하며 죽지못해 살아가는 소년. 그래서 시작된 자애. 지석은 또래 아이들보다 몸짓이 작다. 어릴적부터 가정내 폭행과 성폭행으로 인한 트라우마로 인한 후유증이리라. 그래도 도이와 있을 때는 영락없는 해맑은 어린 아이이다.



<석윤>어릴 적 알 수 없는 환청을 듣고 죽음을 모면할 수 있었던 소년. 하지만 어머니가 쥐어 준 칼자루를 잡아야 했다. 소년법을 운운하며 남편을 죽이고 칼자루를 아들에게 쥐어 준 어머니의 모습을 석윤은 과연 어떻게 생각할까. 이것도 모성이라 여길까.



그리고 여기 또 한 명의 소년 <수혁>

환청을 듣고 죽음을 피한 석윤 대신 평행세계가 분기되어 죽음의 문턱까지 가야 했던, 얼굴이 온통 자상 투성인 수혁. 그런 수혁은 자기 대신 이 끔찍한 사건을 피한 소년을 찾기 위해 악을 쓴다.



지석을 구하기 위해 석윤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구하기 위해 잔류사념속에서 소리치는 도이.

하지만 그들을 구함에 그 일은 다른 누군가가 해를 입는다.

결국 모두가 사는 게 아닌 '대신'이란 조건이 붙는 것일까...



'어째서 매번 가해자보다 피해자가 더 많은 상처를 입어야 하는 것일까.'

'세상엔 왜 이토록 악마들이 많은 것일까.'



도이의 생각은 비단 책속에서만 해당되는 말이 아니다. 지금 우리 현실에서도 가해자보다 피해자가 더 많은 상처를 입는다. 아니, 더 할 때는 피해자를 두 번 죽이기도 한다. 왜? 가해 소년들에 대해서는 보호니 교육이니 모두 합심해서 사회 복귀를 도우면서 왜?? 피해자에 대해선 어떤 관리도 하다못해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조차 주지 않는 현실에 분노하고 화가 났다. 사람들은 말한다. 가해자에게 관대한 나라라고...

묻고 싶다. 과연 법조계 사람들이 자신의 자식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해도 납득할 수 없는 형량을 내릴까.



암울하고 어둡고 안쓰럽고 짠-하고 슬프다.

정말 순식간에 읽어갈 만큼 몰입과 속도감이 좋다.

잔류사념, 평형세계의 분기란 독특하고 신기한 이야기로 독자들의 생각조차 이탈하지 못하도록 옳아 매는 구성이 <월요일이 없는 소년>을 읽을 때만큼이나 주인공들에게 모든 감정이 녹아 들었다. 그래서 아팠다. 안쓰러웠다. 따스하게 등을 쓰담쓰담 해주고 싶었다.



제일 안쓰럽고 짠-했던 지석.

도이와 있을 때만큼은 또래 아이들과 다름없이 밝고 쾌활했던 아이.

학교도 친구도 담임도 포근해야 할 집도 모든 것이 지석에겐 벗어나고 싶은, 죽을만큼 싫었던 존재들이었다. 그런 속에서 도이는 지석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친구이자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도이역시 지석이로 인해 웃을 수 있었다. 그런 친구가 곁에 있어줘서 내심 고마웠다.



도이, 지석, 석윤, 수혁 이 아이들이 왜 고통을 받아야 하는 것일까. 이유도 없이 그냥 운나쁘게 대상이 되었던 아이들. 이 아이들이 새로운 평형세계에서는 여느 또래 아이들처럼 밝고 행복하게 살아가길 간절히, 아주 간절히 빌어본다.

"피해자가 되지 않는 방법이 아니라, 가해자가 되지 않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야 하는 거 아닌가요?

왜 결국은 피해자가 될 여자애들이 예방을 해야 하죠? 남자들이 성폭행 못 하게 지금부터 교육시키면 어른이 돼서 안 할 거잖아!

간단하잖아!

어떤 사람은 범인에게도 인권이 있다고 하지만, 수십 번의 동종 전과를 되풀이하는 범인에겐 인권 따윈 없다. 전과 11범이라는 것은 같은 짓을 열한 번이나 되풀이했다는 뜻이다. 반성하지 않고 같은 짓을 되풀이하는 자는 인간이 아니라 마물이다. 마물은 도륙되는 게 마땅하다.

<잔류사념>사람의 원한, 기억, 집착, 숙원, 슬픔 등의 강한 감정이 해소되지 않고 어떤 장소나 물건 혹은 살아 있는 사람에게

오랫동안 고여 있는 것을 잔류사념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