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은 참 이상도 하지 - 식물 초등 과학이 술술 웅진 과학동화 3
양광 지음, 국제문화 옮김 / 웅진주니어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땅콩은 참 이상도 하지>는 식물의 생김새와 꽃이 피는 시기인 개화시기,

꽃의 번식과 식물의 겨울나기등을 다양한 식물들의 등장과 에피소드

를 통해 알기쉽고 참 재미있게 설명한 과학 동화시리즈입니다.

 

첫부분에 등장하는 아기소나무의 외투이야기는 자신의 몸매를 거칠고

못생긴 껍질로 여긴 아기 소나무가 어느날 껍질을 홀라당 벗어버립니다.

겉껍질인 외투를 벗고 반들반들한 겉모습에 예뻐진걸로 좋아라하던

아기소나무는 곧 피곤해하며 힘들어합니다.

딱따구리의사의 도움으로 알게된 사실은 딱따구리가 나뭇잎에게 물어본 결과

이산화탄소와 물을 이용해서 광합성을 하는 나뭇잎이 뿌리로부터 더 이상

물을 공급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딱따구리의 부탁을 받은 지렁이가 이번엔 땅속으로 들어가 나무뿌리에게

물어보니 나뭇잎이 영양분을 보내주지 않아 힘을 잃어버렸답니다.

 

딱따구리가 머리를 싸매고 연구한 끝에 소나무의 껍질이 벗겨져서 ‘체관’이라는

양분을 실어나르는 길이 끊겨 뿌리가 양분을 공급받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뿌리가 빨아들인 물은 줄기속의 ‘물관’을 통해 잎으로 보내지고 나뭇잎은 광합성

작용을 해서 ‘체관’을 통해 양분이 다시 뿌리로 전달이 됩니다.

양분의 통로인 체관을 잃어버려 이와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지요.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아기소나무는 엉엉 울어버립니다.

머리를 스친 바람결에 잠에서 깬 아기소나무는 이 모든 것이 꿈이었다는

걸 알고 안도하게 됩니다.

 

표제작인 <땅콩은 참 이상도 하지>는 귀여운 아기 병아리가 땅콩을 심고

싹을 튀우며 열매를 맺기까지 정성을 다해 관찰하는 내용으로 왜 열매가 맺지 않는지,

열심히 다 자란 땅콩의 줄기를 모두 뒤져보며 열매를 열심히 찾아봅니다.

땅콩을 심어놓고 빨리 자라지 않는다며 조바심을 내는 병아리의 모습은 아이들이 직접

식물을 심어놓고 언제 빨리 자라나? 하는 모습을 떠올리게해 웃음짓게 합니다.  

 

이처럼 여러 동물들과 식물들의 에피소드를 식물의 특징별로 재미있는 동화로

풀어놓아 딱딱하고 조금 어려울수도 있는 과학지식들을 아이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 해놓아 과학공부를 누구나 쉽게 할 수있는 과학동화였습니다.

각 단락의 이야기가 끝나면 식물의 구조에 대해서 예쁜 그림과 함께 정확한

과학지식을 설명해놓았고 꽃이 피는 개화 시기도 계절에 맞추어 피는 꽃과 시간에

맞추어 피는 꽃으로 나누어 알려주고 있습니다.

꽃의 번식부분은 식물의 꽃가루받이를 도와주는 곤충, 바람, 새, 동물들을 통해

수매화, 풍매화, 조매화를 재미있게 설명해주고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식물의 겨울나기는 나무는 잎을 다 떨어뜨리고 겨울눈을 만들고

겨울을 나는 나무인 참나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의 겨울눈을 알 수

있으며 풀의 겨울나기는 잎이나 줄기 없이 씨앗으로 겨울나는 식물들과

알뿌리로 겨울나는 식물들, 잎과 뿌리로 겨울나는 식물, 땅속 줄기로 겨울나는

식물들도 알수 있었습니다.

나무의 나이테를 통해 과거의 기상상태를 알수도 있다는 사실두요.

맨 뒷부분에 있는 숙제도우미는 교과과정에 맞추어져 있어 예쁜 꽃그림은 오려서

어느 계절에 피는 꽃인지 아이들과 서로 퀴즈를 내보며 재미있게 공부할 수 있답니다.

 

아이들에게 과학지식을 아기자기한 예쁜 그림과 쉬운 설명,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이야기 형식뒤에 중요한 내용들을 따로 풍부하게 설명해 놓은 부분들은

더욱 이해를 돕고 과학지식을 정리하기에 좋았던 느낌을 갖게 하였습니다.

과학은 어렵다는 생각에 다소 접근하기가 어려울 수있는데  딱따구리 의사나 땅콩을 심은

병아리가 왜 그럴까? 하고 생각해보는 모습에서, 또는 책에 등장하는 식물이나 동물들이 

누구에게 물어본다거나 혼자서 알아보고 해결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는 모습들은

아이들에게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연을 관찰해볼 수 있는 탐구심을 길러주는 것 같아요.

다른 시리즈에도 관심이 가고 모두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좋은 과학동화였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