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학습력을 높이는 황금시간표
나카하타 치히로 지음, 주용기 옮김 / 부엔리브로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중의 하나가 바로 계획을 잘 세우는 것일 겁니다.

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면 바로 '습관'이 아닐까 합니다.

영재처럼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일지라도, 본인이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어렸을 때부터 계속되어 온 좋은 '습관'은

한 사람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누구나 자신의 아이가 공부를 잘하기를 바랍니다.

그렇다면 부모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쉼 없는 자기계발과 발전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을 길러 주는 것이

단순히 공부를 잘하는 아이로 만드는 것보다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아이에게 물려 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선물인 <좋은 습관을 길러 주는 법>관한 책!

초등생 학습력을 높이는 황금시간표

 





 

 

 

 

이 책의 첫번째 특징은 아주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이론을 담은 책이라고 해도 내 것으로 체화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롤 모델이 큰 도움이 됩니다.

책의 저자는 '학습 행동과 부모의 교육 관여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위원으로 활동하며

아이의 학습행동, 생활행동, 미디어 접촉 등을 조사하여 <부모의 학습 관여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고 합니다.

즉,  이 책은 사례 연구와 설문 조사를 통한 통계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책의 내용들은 모두 실질적인 내용들로 채워져 있어서, 실천하는 데 좋은 자극이 됩니다.

부모가 그다지 공부를 잘하지 못햇는데, 자녀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자가 밝히고 있는 공부 잘하는 아이의 부모들의 공통점은 부모들의 학습능력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아이가 어렸을 때, 목표관리력, 집중력을 몸에 익히도록 가정 교육을 시켰다는 것입니다.

가정 교육에 복잡하고 특별한 프로그램이 있었던 것은 아니라, 단지 기본적인 생활 수칙을 습관이 되게

코팅하는 것이 공부를 잘하는 아이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아래에 나와 있는 표는 공부를 잘하는 아이와 못하는 아이의 비교를 다루고 있습니다.

유치원 아동,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시간표를 비교하고 있지요.

저는 이표를 보면서 반성을 많이 했습니다.

사교육을 안시키면서 아이를 최대한 많이 놀게 하고, 여유있는 시간을 보내려고 생각했었거든요.

그런데 막상 예비 초등생이 되고 보니 학습적으로 좀 뒤쳐진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처음에 이 책을 접했을 때도, 아이를 너무 힘들게 하는 책이 아닌가하는 선입견이 들기도 했구요.

하지만 공부를 잘하는 아이의 시간표가 결코 공부 위주의 시간들로 채워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1. 식사 시간에는 텔레비젼을 시청하지 않기

2. 매일 정해진 시간에 공부하는 아이 옆에 앉아 살펴봐 주기

3. 정해진 시간에 책 읽어 주는 엄마 목소리 듣고 잠들기

등 매일 적은 시간을 투자하는 습관적인 이야기였습니다.

 

공부 못하는 아이의 시간표가 우리집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살짝 우울감이 밀려 오기도 했습니다.-.-

텔레비젼 시청은 길지 않은 편이지만, 그날 기분에 따라 놀기도 하고 공부하기도 하여

예정된 일정도 쉽게 변하는 일이 자주 있는 편이거든요.

이 표를 보고 나니, 앞으로 정해진 일들은 되도록 미루지 말고 실천해야겠다는 긴장감이 바짝 들었네요...;;




 







 

 

 

그렇지만 보다 제 마음을 흔든 것은 다음의 내용들입니다.

부모와 아이가 동일한 라이프 사이클을 유지해햐 한다는 데, 저는 아이가 놀거나 공부를 하면 집안일을 하느라

바빴거든요. 부모는 흔히 아이가 자신의 언행을 무심코 지나칠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부모를 유심히 관찰하여 그 말과 행동 하나하나를 머리에 입력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결국 '부모의 행동 모방하기'로 나타나서 부모의 행동과 말에서 불일치를 보이면 혼란감을 느끼게 되지요.

저같은 경우는 아이가 어느 정도 크고 나서는, 제 개인 생활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편이었거든요.

너무 아이에게 몰입하면 오히려 아이에게 부담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어보니, 엄마가 좀 더 부지런하게 자신의 삶을 꾸리고 아이와 라이프 사이클을 맞추라는 이야기에

공감을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10살 정도까지만 코치를 잘하여 기초체력을 붙여 준다면,

그 후로는 공부 잘하는 친구들이 서로 끌어 주어 학습 능력을 높여 갈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에 '공부를 잘한다'는 학습 자존감이 싹트게 하려면, 엄마 자신부터 황금시간표를 만들고 실천해야

합니다. "내일부터 해도 괜찮아."라고 말하는 것은 아이의 자각을 꺽어 버리는 일이라네요.

 



 

 

 

평범한 생활습관이 아이의 시간 관리 능력을 키워준다...

사소한 일상을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부터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공부 잘하는 아이로 만드는 비결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 구체적인 실천 맵들은 이 책을 자주 들여다 보면서, 종종 수정하려고 해요.

아이와 저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책이라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