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 통통 사고력 쑥쑥 우리 아이 행복한 책 읽기 - 아이와 함께 크는 엄마 6
신애숙.유성화 지음 / 팜파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엄마들이 가장 많이 신경을 쓰는 것 중의 하나가 아마 독서일 것입니다.

저두 아이가 원할 때마다 열심히 책을 읽어 주곤 했지요.

그런데 아이가 커갈수록... 여전히 책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어딘가 방향성을 잃어버린 듯한

느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엄마가

책을 읽어주는 것을 훨씬  좋아하는 아이를 보면서, 한편으로 답답한 마음을 가지기도 했구요.

저의 인생에서 책은 늘 만나면 가장 편안한 친구같은 존재였지요.

하지만 아이를 보면서 마음 한구석이 편하지 않았던 것은 왜일까요.

 

저는 나름대로 육아서와 독서 관련 책들을  신경 써서 챙겨 보는 편입니다.

그렇지만 기존의 책들은 대부분, 게으른 엄마가 실천하기에는 너무 거창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었습니다.

그런 책들을 통해 잠시나마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는 있었지만, 다가가기 힘든 엄친맘들의 수기에

오히려 아이에게 미안함을 느낀 적이 더 많았습니다. 매일매일을 아이 하나만을 바라보면서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그런데 이번에 읽게 된 <우리 아이 행복한 책 읽기>는 우리 아이처럼 평범한 아이에 대한 글들이었습니다.

그 내용은 여러 아이들을 실제로 가르치면서 느꼈던 경험과 생각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제 각기 다른 성향과 개성을 가진 아이들을  독서라는 틀을 통해 관찰하여 진정으로 행복한

책읽기가 무엇인가에 관한 길잡이를 제시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과 친구가 되자 - 어떻게 하면 책과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 그림책의 작은 부분 하나도 놓치지 않겠다고 페이지마다 꼼꼼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려는 부모들의 욕심을 버리자.

* 글을 가르치기 위해 그림책을 읽히지 말자.(글자를 읽는 것과 책을 읽는 것은 다르다.)
* 세상의 모든 교육이론은 과정의 중심이지 반드시 지켜야하는 결과론이 아니다. 언제나 내 아이를 먼저 생각한 후에  
 보편적으로 제시된 교육이론을 적용하라.

  

저희 아이는 책을 꽤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읽기 독립이 되지 않아서 좀 걱정이 되던 차였어요.

특히 유명한 독서영재사이트를 보면, 스스로 책을 읽어야 함을 꽤 강조하고 있잖아요.

그리고 한글 역시 별도의 학습 없이 책을 읽으며 익혔었거든요. 그래서 읽기 독립이 느린 편인가...하고 생각고 있었지요.

그렇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그 모든 것이 저의 조급함이었던 거 같아요.

책에서 배울 것은 글자가 아니다. 나이가 언제가 되었든 아이가 읽어달라며 책을 들고 온다면

행복한 마음으로 읽어줘라. 모든 일에는 다 시기가 있다... 이 부분을 마음 깊이 새기려고 합니다.

 

 

 

 


우리 아이 책 읽기 습관 -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현명한 독서습관

 

* 책의 편식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다. 집중하는 흥밋거리가 있다는 것은 긍정적인 신호다.

흥밋거리를 전문적인 지식으로 발전시켜 주어라. 아이의 성향이 굳기 전에 북리스트를 만들어라. 

* 그림책에서 아이와의 대화 소재를 찾아라.

* 아이의 질문을 통해 생각의 물꼬를 터 주어라.

 

이 책에는 일일히 그 내용을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한 독서 습관에 관한 사례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아이와의 독서에서 엄마가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들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요.

 <우리 아이 행복한 책읽기>를 읽으면서 때때로 아이를 다그쳤던 저의 과오들을 반성하게 되었어요.

 

 

 


우리아이, 그림책을 읽고 달라졌어요

 

* 산만한 우리아이, 어떻게 책을 읽혀야 할가요?

*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요. 

* 엄마와 한시도 떨어지지 않으려 해요.

* 툭하면 친구들을 때리고 괴롭혀요. 

 

이 책은 아이의 문제성향을  독서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들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독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하고 있지요.

사실 따지고 보면 독서와 생활 태도를 분리하여 이야기하기는 어렵잖아요.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이론적인 독서 방법이 아닌,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실질적인 책읽기를

설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꼼곰히 읽다 보면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을 듯 해요.

 

 





 

 

제가 보기엔 불편해 보이는데, 아이가 가장 편안하다는 자세로 책을 읽고 있네요.

하지만 이 책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 보편적인 잣대에 내 아이를 가두지 말라...

이 말을 마음에 새기면서 <우리 아이 행복한 책 읽기>를 다시 시작해보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