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XX - 남자 없는 출생
앤젤라 채드윅 지음, 이수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3월
평점 :
‘XX(남자 없는 출생)’을 다 읽고 난 느낌은 “한 권의 소설에 많은 문제의식을 담고 있구나” 이다. ‘난자 대 난자’ 인공 수정 시술의 윤리적 문제, 동성애에 대한 혐오, 황색저널리즘,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사이의 편견, 과학으로 포장된 가짜뉴스 등 현재의 대한민국에서도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영국 작가 앤젤라 채드윅의 데뷔작인 ‘XX(남자 없는 출생)’는 남자 없이 여자의 난자만으로 인공수정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된 가상의 현재를 배경으로 한다. 레즈비언 커플인 줄스와 로지는 자신들의 아이를 갖기 위해 임상 시술을 신청하고 임신에 성공하게 되지만 곧 그들이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시련에 직면하게 된다.
생명윤리에 대한 신념도 없으면서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대중을 선동하는 정치인,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언론 보도, 과학으로 포장하여 비논리적인 통계와 주장을 하는 전문가. 이들은 받아들일 수 없는 임신을 한 줄스와 로지를 집요하게 공격하고 이러한 상황은 두 사람의 관계에도 위기를 맞게 한다.
난자만으로 인공수정이 가능한 기술이 생명 윤리적으로 올바른지에 대해 잘은 모르겠다. 다만 확실한 건 이러한 기술 개발이 생명윤리 문제로 멈추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당장 IVG(시험관 배우자형성)기술은 한 사람의 체세포에서 정자와 난자를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아기를 탄생시킬 수 있으며, 10~20년 이내에 상용화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제는 이러한 기술 개발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생각과 더불어 가족을 이루는 방식에 대한 고정된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대라는 생각이 든다. 언제까지 남자와 여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사랑과 그로 인해 만들어진 가족만이 정상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까? 지금은 보편화되었지만 최초의 인공수정 및 시험관아기에서도 생명윤리에 대한 반발은 매우 컸었다.
“서로 사랑하는 두 사람이 아이를 갖는 것뿐인데,
그게 왜 이렇게 어렵고 힘든 일인 거야?”
가족의 의미와 성소수자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가 없다면 로지의 대사는 앞으로도 계속 반복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