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필요한 순간 -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란 책 제목이 끌렸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고등학교 때 한번 정도는 생각해보았을 것이다. “방정식이니 함수니 미적분 같은 것은 도대체 왜 배우는 거야?” “난 이공계에 갈 것도 아닌데 꼭 이렇게 배워야 돼” 라는 생각 말이다. 난 이 책에 그 해답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우리가 왜 죽어라고 방정식을 풀고 미적분을 풀고 확률과 통계문제를 풀어야 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수학이 필요한 순간”이 아닌 “수학적 사고가 필요한 순간”이 책의 내용에 더 부합하는거 같다. 우리에게 수학은 언제나 풀어야 하는 시험문제로만 인식되어진다. 그래서인지 수학적 사고가 세계를 사고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능력이라는 사실에 대해 갸우뚱해진다. 내가 일상생활에서 수학적 사고를 하고 있다고?...그런가.
책은 총 7개의 대화체 강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 마다 인간의 사고능력을 확장시켜온 수학의 다양한 이론 및 사례가 소개되어 있다. 모든 장이 흥미롭고 좋았지만 나에게는 제3강의 “확률론의 선과 악” 편이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다. 승패를 가늠하는 “점수의 문제”에서부터 윤리적인 판단인 트롤리의 문제까지 수학의 확률은 아주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4강의 민주주의에 가장 적합한 대표자를 어떻게 선출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도 매우 흥미로웠다. 투표 방법론에 따라 당선자가 바뀔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보여준 것은 우리가 너무나도 쉽게 받아들이고 있는 현재의 투표제도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수학적인 사고란 일상의 문제에서 정답부터 빨리 찾으려고 하기보다 좋은 질문을 먼저 던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정답보다는 의미 있는 질문이 먼저라는 저자의 생각에 백퍼센트 동의하며 우리나라의 현실교육도 좀 변화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