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행록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2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다보면 읽고나서 가슴이 뭉클해지고, 따뜻해지는 책이 있는 반면에, 무언가 가슴에 턱 걸린 것 처럼 답답하고 아련한 책이 있다. 이번에 서평할 우행록이 바로 후자에 속하는 소설이다. 표지부터 심상치 않더니, 책의 마지막 장을 넘기던 순간까지 Jin하다를 불안하고 초조하게 만들었다. 정말 이런 책은, 밤에 읽기 두려운 책이다.



표지부터 독자에게 긴장감을 실어주기 충분하다. Jin하다는 이 책을 보고 정말, 거짓말 하나 안보태고 '무섭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 처음에는 흠칫할 정도로 무서워 보이는 하얀 가면이, 자꾸 보다보면 가면의 눈빛이 슬퍼보이는 착각이 들기도 한다. 그 이유는… 아마도 내가 소설을 모두 읽고 나서 보았을때의 감정이었던 것 같다, 어째서, 저 흉측한 가면이 슬퍼보인다는 것인지는 소설을 읽다보면 알게 된다.

모든 것이 완벽해 보이는 일가족의 살인사건으로 소설은 이야기를 꾸려간다. 첫 페이지를 보고, 나는 책의 구성에 매료되었다. 미궁에 빠진 사건을 바탕으로 소설을 써보고자, 하는 누군가에게 사건의 실마리를 조금씩 제공하는 관련인들의 인터뷰가 책의 한페이지, 한페이지를 채워나가는 구성은, 읽는 사람의 집중력을 한껏 배가시켰다. 이웃 아주머니, 부인과 요리를 배우던 수강생, 대학 동창, 회사 동료 등 주변 인물들…, 정말 우리들 실생활에서 존재하는 주변인물들을 하나씩 만나가면서, 완벽했던 가족이 어째서 잔인하게 살해당해야만 했는지에 대한 길을 따라간다.

하지만 나는 우행록을 읽으면서 한참을 머뭇거렸다. 아무리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도, 일가족이 처참하게 살해당할 만한 이유가 보이질 않았다(Jin하다의 생각으로는).
그리고 드디어 마지막 장에 다가서야 살인자가 밝혀졌고, 나는 허탈감과 또한 찾아오는 잔인함에 한참을 허공만 바라보았다. 그리고 생각했다. 누가, 살인자인걸까. 칼을 휘두른 사람이 진정 살인자일까, 그렇게 만든 세상이 살인자일까.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다보니 정말이지, 찝찝함이 감도는 소설이라는 생각이 다시금 들었다.




근데 왜 죽였냐고? 그것도 혼자만 죽인 게 아니라 가족까지 몰살했느냐고?
음, 그냥 툭 끊어졌나 봐. 내 안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끈 같은 게 툭.


소설을 읽다가 비슷한 이미지의 누군가가 떠올랐다. 천재적 후각의 소유자이자, 잔인한 살인자였던 장 바티스트 그르누이. 바로 소설 향수의 주인공이다. 악취가 진동하는 시장에서 태어났고, 태어나자마자 고아가 되었고, 잔인한 살인자가 되버린 그가 떠올랐다. (소설을 읽으신 분들은 공감하시려나?.




비슷한 느낌의 두 살인자는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모르는, 순진무구한 눈으로 잔한 살인을 했다. 하지만 그들 모두를 잔인하다고 속으로 욕하면서도 마음 한켠이 답답해지는 것은, 그들이 자라온 배경이 결코, 순탄치 못했던 이유- 그래서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탓이었다. 정말이지- 밤에 읽고싶지 않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