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매의 기술 - 박병창의 돈을 부르는
박병창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5월
평점 :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의 장중 시그널
거래량을 활용한 매매 종목의 주가 움직임
매수 제1원칙은 5일선 위에서 급등하는 주식을 오전 하락 또는 오후 매물 소화 후 상승할 때 매수하는 것이다. 매수 제2원칙은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서 거래량이 감소하며 조정 하락을 거친 후 다시 거래량 실린 양봉이 나타날 때 매수하는 것이다. 매수 제3원칙은 20일선 아래로 급락하거나 오랫동안 추세 하락한 종목이 대량거래와 함께 십자형 또는 양봉을 만들 때 매수하는 것이다. 매도 제1원칙은 5일선 위에서의 매도, 제2원칙은 20일선 부근에서 거래량 실린 음봉이 나타났을 때의 매도다 - P74
(1)거래량 증가와 함께 장대양봉을 만든 경우에는 매집으로 판단하며, 조정 시 지지 매수세가 유입된다 (2)거래량 증가와 함께 장대음봉을 만든 경우에는 매물로 판단하며, 반등 시 저항 매도세가 된다. ③ 상승 초기에는 거래량이 급증해야 하지만, 상승폭이 커지면 커질수록 거래량이 감소해야 한다. ④ 상승 초기에 매도자가 많아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강한 상승 종목에 매도자가 많다는 것은 매도의 이유가있다고 판단해야 한다. ⑤ 가격이 크게 상승한 후에 거래량이 급증하면 매도 타이밍이라는 신호다. 이때 십자형 또는 음봉이 발생하면 매도세가 강한 것이므로 1차 매도신호로 판단한다. ⑥ 가격이 크게 하락한 후에 거래량이 급증하면 매수 타이밍이라는 신호다. 이때 십자형 또는 양봉이 발생하면 매수세가 강한 것이므로 1차 매수신호로 판단한다. ⑦ 조정 구간이나 하락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급감‘ 하는 것이 좋으며, 최소한 상승 시기의 거래량보다는 현저히 적어야 한다. ⑧ 장대양봉이나 장대음봉인 경우 거래량이 증가하면 매매 타이밍으로 판단해야 한다. 간혹 거래량은 적은데 장대양봉이나 장대음봉인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엔 주가등락의 이유가 기업 외부에 있을 것이다. 그 이유를 판단하여 결정한다. - P1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