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의 정석 - 어느 지식인의 책장 정리론
나루케 마코토 지음, 최미혜 옮김 /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애플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장은 현재와 과거의 나의 대화 창구이다. 꽂혀 있는 책들에서 내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었고 현재는 무엇에 호기심을 느끼며 살아 가는지 알 수 있다. 내가 살아 있듯이 책장도 살아 있다.

작가는 이 살아 있는 책장을 끊임없이 대화하고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로써 어떻게 보살피는게 좋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책장에 꽂을 책을 자신이 재미(가치)있게 읽은 책으로 제한한다. 그렇게 하면 자연히 책장이 정리되고 머리 속까지 같이 정리 된다. 독서를 즐김과 동시에 한층 성장한 것이다. 성장한 내게 맞게 책장은 다시 바뀐다. 이렇게 바람직한 순환이 계속 일어난다.

|책장의 용량 대비 80%만 책으로 채울 것. 늘 책장에 20%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 20%는 내가 성장할 여백이 있음을 알게 되는 것, 그것만으로도 앞으로 인생은 바뀔 수 있다. 이 여백에 어떤 것을 채워 갈까 호기심이 끓어오른다.

통장을 여러 개로 나누어 관리하듯이 책장도 앞으로 읽을 책을 내 생활 주변에 가까이 쌓아두는 ‘신선한 책장’, 다 읽은 책을 효율적으로 꽂아두는 장소인 ‘메인 책장’, 생각날 때 참조하고 싶은 책을 쌓아두는 ‘타워 책장’으로 나누어 관리 한다. 메인 책장의 20% 공간은 항상 비워둬야 하기에 내가 한때 읽고 재미있어 꽂아 두었던 책도 새로운 관심사 앞에 자리를 내 놓아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내가 성장하는 계기는 내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여백의 20%는 항상 내가 알고 있다는 자만을 경계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계절과 세월의 흐름을 단풍이 들고 지고, 산천의 변화를 통해 느끼고 생각하게 되듯이 변화되는 책들의 제목에서 나의 생각들을 정리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