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스타트업 - 지속적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
에릭 리스 지음, 이창수.송우일 옮김 / 인사이트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은 스타트업 기업의 가이드 북이다.많은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이유는 초기 아이디어에서 플랜B가 없기 때문이다. 즉, 처음부터 완벽하게 완료하려고 한다. 그리고 customer Development 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lean'은  '저렴하다 ' 외에 낭비없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린 스타트업'의 목표는 단위 시간당 고객들에 대한 학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핵심은 소규모의 빠른 반복 개선 작업을 통해 어떤 비전을 검증하는 개념이다.

린 스타트업은 린캔버스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계획에서 가장 위험한 부분을 식별하고 계획을 체계적으로 테스트 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사업계획에서 위험부분 찾기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 한다.
1.문제/솔루션 적합성
핵심질문: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인가?
-고객이 원하는 것인가? (필수성)
-고객이 돈을 내고 구입 할 것인가?(실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가?(실현 가능성)
2.제품/시장 적합성
핵심질문:사람들이 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는가?
3.규모확장
핵심질문:성장을 어떻게 가속화 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은 Loop 을 통해 계획을 체계적으로 테스트 하고 update 한다.
아이디어->개발->제품->측정->데이터->학습->아이디어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솔루션을 찾는 것은 가장 피해야 할 낭비 이다. 스타트업은 유연해야 한다. 플랜A가 해결할 가치가 없는 문제에 대한 솔루션이라면 과감한 변경이 필요 하다. 사업은 신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검증된 사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