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 구운몽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
최인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때 수능을 위해서 소설 「광장」에서 '광장', '갈매기 2마리'의 의미를 외우던 기억이 난다. 소설을 읽지 않고 안다는 것, 소설뿐만 아니다. 어떤 것을 체험하지 않고 안다는 것은 너무 시각이 단편화되는 것 같다. 사실 지금까지 나는 명준이 왜 죽어야 했는지 그 이유도 몰랐었다. 작가가 출판 이후에 네 번이나 수정했다는 이 소설은 혹시 작가도 확실히 알 수 없는 사실, 어쩌면 사회 속에 살면서 사회의 영향하에 놓여 있는 우리로서 쉽게 느끼기 힘들 사실을 말하려는 게 아니었나 싶다. 더구나 소설의 반을 차지하는 북한은 그야말로 우리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거나 잘못 알려진 세계가 아닌가.

초반부터 끝까지 광장과 밀실의 비교, 또 남한과 북한의 비교는 둘 모두를 가질 수 없었던 6.25이후의 상황을 말하는 것 같다. 명준이 월북한 이유는 남한의 위선으로 가득 찬 광장에 대한 혐오 때문이었다. 또한 남한은 그나마 믿었던 자신만의 밀실이 보호되지 못한 사회였다. 정권에 의한 개인의 자유의 침해는 있어서는 안될 일인데도 불구하고... 과거 수 십년간 이루어졌던 것 같이...

월북한 명준은 나름대로 자신의 이상을 펴보려 하지만 북한의 광장도 잘못된 광장이고, 밀실이 존재하지 않는 사실에 크게 실망한다. 명준은 나름대로 연인과의 사랑으로 자신이 사는 이유를 찾지만 6.25도중 은혜의 전사로 그 마지막 이유마저 사라지자 더 이상 북한에 머무를 이유가 없어지고, 중립국 행을 택한다.

결국 사람에게는 광장과 밀실이 모두 필요하지만, 이 중 하나만 존재하는 사회, 게다가 그나마 그 하나마저 거짓된 공간이라면, 그 삶은 삶을 삶답게 해주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삶이고, 명준의 마지막 선택이 옳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명준이가 죽기 전, 그의 손에는 부채가 있었고, 점점 부채의 사북까지 몰리는 자신을 발견하고 죽음을 택한다. 이 모습은 마치 이육사의 시 '절정'에서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라던가 '...한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고 표현한 부분과 흡사했다.

한계상황에서 인간이 선택 할 수 있는 일은 죽음밖에 없을 것이고, 해방 후 남북한 사회는 개인들에게 이러한 상황을 강요했다. 그렇다면 그 원인이 무엇일까? 물론 그 원인은 남북 분단과 서로 다른 이념 때문이다.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 통일로 귀착되는 사고방식은 다소 60,70년대의 박정희 정권 식의 사고 방식 같지만, 말로만 내세우는 통일이 아닌 진정한 통일이 필요한 것 같다. 최소한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더라도 두 나라 모두가 사상과 이념의 자유가 허용되었다면 명준의 비극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청준의 소설 「소문의 벽」에서 나온 '전짓불 체험' 식의 사고 방식이 해방 후 많은 비극을 초래했다는 사실을 다시 떠올려 보면, 너무도 우리 현대사가 씁쓸하다는 생각이 든다.

전쟁 이후 많은 시간이 지난 지금의 우리 사회의 모습을 잠깐 떠올려 보았다. 명준이 생각하던 광장과 밀실 모두가 정상적인 상태로 존재하는지는 의문이다. 물론 광장의 많은 부분이 넓어졌고, 밀실도 함부로 침해를 당하지 않을 만큼 튼튼해졌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진정한 광장, 밀실을 느끼는 것 같지 않다. 아직도 사회 곳곳에는 부정과 차별이 존재하지 않는가.

더 이상 명준과 같은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주어진 대로의 삶이 아닌 열심히 사는 삶을 통해서, 다시 말하면 사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과정을 통해서 사회에 진짜배기 광장이 있고, 개인도 진짜 밀실을 가질 수 있도록 살아야 함을 느꼈고, 끝으로 삶을 광장과 밀실로 나누어 보는 작가의 시각이 놀라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