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로 순환선 - 최호철 이야기 그림
최호철 지음 / 거북이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돈 주고 한국 작가의 ‘그림책’을 사 본 것 역시 처음인 것 같다. 타쉔이나 파이돈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서양 화가들의 화집은 그렇게 뻔질나게 사 모았으면서.. 그나마 이 작품집이 회개의 첫출발로 삼기에 더없이 훌륭하고 맞춤하다는 사실에 위안 삼는다.

 책은 묵직하다. 물리적 실체를 말하는 게 아니다. 한 폭의 그림 안에 수많은 이야기가 펼쳐지다 보니 책장을 넘기는 속도가 빠를 수 없다. 구석구석 천천히 날 것 그대로 드러난 지금-여기의 현실과 충분히 교감한다. 행여 조그만 사연이라도 놓칠세라 사려 깊은 눈길로 음미하고 또 상상한다. 

 <을지로 순환선>을 보며 자연스레 도미에의 <삼등열차>를 떠올린다. 지친 표정과 남루한 입성의 군상들. 눈부신 경제발전과 대조를 이루는, 소외되어 시들어가는 계층의 존재는 세기를 건너 계속된다. 그들은, 또 그들이 탄 열차는 대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건지 도무지 모를 일이다.

 <와우산>에서는 브뤼겔의 <바벨탑>을 연상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한강을 내려다보며 화면 가운데 자리잡은 산. 멀리 63빌딩에서 국회의사당을 거쳐 중앙으로 휘감겨들어오는 건물과 사람의 흔적은 산꼭대기 달동네 풍경에 이른다. 위태롭게 쌓아올린 이 자본주의 축적의 미래가 어떠할 것인지는 물론 누구나 안다. 문제는 끝에 당도하는 시간. 그 때까진 욕망이 욕망을 욕망할 뿐. 

 최호철은 작은 스케치북에 끈을 달아 늘 어깨에 메고 다닌단다. 본 것만 그리기 위해서라 했다. 그러니 천지사방이 작업실이고 일터인 셈이다. 며칠 전 인터넷에서 본, 촛불시위 현장을 담은 그림도 그렇게 탄생했을 것이다. 천천히 마우스로 스크롤하며 내려가자니 2008년 남한 사회의 단면이 그대로 엿보였다. 다중시점이라 하던가. 그는 망원경과 현미경을 동시에 사용하며 절망과 희망이 교차하던 6월의 거리를 생생히 전하고 있었다. 동시대를 증언하는 이 위대한 풍속화가의 등장에 우리는 브뤼겔과 도미에를 평가하는 것 이상의 경의와 찬사를 보내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