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격 - 성장하는 나, 성공하는 조직, 성숙한 삶
신수정 지음 / 턴어라운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북에서 종종 저자의 좋은 글을 보곤 했는데 책으러 묶여 나와 좋습니다. 일- 직장 생활- 자기 관리 - 인생까지 여러 영역에서 많은 도움이 되고 영감을 주는 글입니다. 랜선-서면으로도 대면 못지 않은 멘토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나 길은 있다 - 삶의 목적과 방향을 발견하는 법
오프라 윈프리 지음, 안현모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순간 경치 좋은 곳에서 명상을 하는 듯한 기분이 든다. 바쁘게 지내느라 지나치고 있던 중요한 것들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배움을 완결 짓는 칭찬이 아니라,
유도하고 격려하는 칭찬부모들은 아이 마음에 성공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한다. 아이가 뭔가를 잘했을 때, 마치 그 분야 전체를 마스터한 것처럼 아이를 과도하게 칭찬하면 아이는 은연중에 성공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가령 사르트르에 관한 에세이를잘 써냈다는 이유로 "넌 철학자구나" "전문가 같은데?" 같이 과한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더이상 배움이 필요 없는 단계에 도달했다고 착각하게 된다. 이런 착각에 빠진 아이는 자신이 모르는 문제를만났을 때 이 분야를 다 알지 못하는 게 자연스러운 일임에도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창피하게 여길 수 있다. 성공에 대한 두려움은여기에서 출발한다. 지나친 칭찬이 아이에게 독이 된 경우다.
/ 아이가 뭔가를 잘 배우고 익혔다면 "지금까지 참 잘 배웠구나.
*으로는 어떤 부분을 더 배워보면 좋을까?"라고 격려하는 것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성취는 도전을 결정하면서 시작된다." - P1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통의 생각과 달리 탁월함은 완벽함이나 큰 성공을 의미하지않는다. 탁월함이란 오늘의 상태를 뛰어넘어 더 성장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탁월함은 상태가 아니라 노력이다.
탁월함은 자신을 뛰어넘어 성장하고 자신의 가능성과 삶의 질을 점점 더 최정상에 가깝게 하려는 의지에서 생긴다. 이런 개념정의에 따르면, 이미 크게 성공을 했든, 이제 막 열의를 갖고 출발선에 섰든, 탁월함은 모두에게 열려 있다.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