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공납제의 운영 태학역사지남 2
박도식 지음 / 태학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전기를 통틀어서 국가 재정 수입원 중의 하나인 공납제에 대해서 내용을 어렵지 않고 길지도 않게 서술해 두었다. 많은 자료 인용을 토대로 시간순으로정리를 하여서 조선 전기 경제 제도의 변화, 변천을 읽어볼 수 있었다. 140쪽 정도되는 분량을 마지막 결론에 잘 정리해 주었다. 주가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게 각주로 되어 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미주여서 아쉬웠다. 선호하지 않는 방식이라 더 그렇게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국초부터 공납제 운영에 대한 원칙을 세운 조선이었지만, 그것은 너무 이상향이었고 당장 조선이 그것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국가도 아니었다. 그리고 새로 제도를 고친다고 하더라도 통신 체계가 완벽하지 못했고, 있는 자들의 이해관계,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등 여러 문제가 얽매여서 언제라도 한 번 정한 제도를 제대로 운영이 되지 못한 것 같다. 공납제의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은 조선도 잘 알고 있었고 끊임 없이 법 개정을 시도하고 또 시도하였지만 계속해서 여러 폐단이 생겨났다.

특히 가장 심각했던 것은 백성들은 농사를 지어야 되는데 공물을 요구하면 농사를 짓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백성들에게 이런 과도한 부담을 주게 되니 어느 하나 제대로 되는 것이 없었을 것이며, 처음에는 방납마저 제한을 하였다. 결국 방납을 허용하게 되는데, 조선이 약간의 보수성에서 탈피를 해서 상업 활동을 밝은 면으로 보았더라면 방납을 조금 더 일찍 인정을 해주었고 조선이라는 국가가 조금 더 부유할 수 있었을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까지 닿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 전기 공납제의 운영 태학역사지남 2
박도식 지음 / 태학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만원의 가치를 충분히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대성은 지지 않는다
구대성 지음 / 살림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06년 WBC를 보고 구대성이라는 선수를 알게 되었고 그 선수를 따라서 한화 야구를 보기 시작했기 때문에 은퇴하기 직전에는 던지는 걸 봤지만 그 전에 그리고 호주를 가서는 잘 알지 못했다


에세이를 보면서 그때 투수들이 많이 그랬지만 구대성이란 선수도 혹사를 많이 당한 것 같기도 하고 해외진출 과정에서도 선수 본인의 뜻대로 되지 못했던 것 같다. 구대성하면 메츠에서 랜디 존슨에게 2루타 진 거였는데 비하인드 이야기도 재미있었고

아는 이야기는 맞네 맞네 회상하면서 읽었고 모르던 이야기도 새로 알게 되었다... 다승 1위 평자 1위도 하긴 했지만 번듯한 타이틀도 없고 송진우 정민철 팀 내 쟁쟁한 투수들에게 뭔가 가려진 것 같다. 그래도 여태 역대 최고의 한화 마무리는 구대성, 구대성이 아니면 경기를 끝낼 수 있는 투수는 없을 것이다. 특별히 드러다니는 않았지만 없으면 안되는 선수 그런 구대성이란 투수의 선수 생활을 잘 보여준 듯하다.

15번은 충분히 4번째 결번이 될만 한데 되지 못해서 너무나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병자호란, 홍타이지의 전쟁
구범진 지음 / 까치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저 개론적으로 병자호란을 받아들이고 있었는데, 기승전결을 자세하면서도 어렵지 않게 그리고 중요하지만 놓친 포인트를 찝어 내어 병자호란에 대해서 리마인드할 수 있는 책이었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