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섯 사람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43
데이비드 맥키 글, 그림, 김중철 옮김 / 비룡소 / 1997년 6월
평점 :
어렸을 때 어른들이 물었습니다. "네가 제일 무서워하는 게 뭐니?" 대뜸 호랑이, 괴물, 귀신, 그러다가 조금 큰 아이가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가장 무서워질 때, 그러면서 사람이 사람을 가장 무서워할 때 전쟁을 합니다.
솔직히 아이들도 늘 전쟁 중입니다. 아침에 일어나기 싫어서 엄마와 전쟁을 하죠, 밥 먹으며 또 한바탕 전쟁을 치릅니다. 학교에서 학원에서 길에서 친구들과 책과 글씨와 학원 버스와 돌멩이와 선생님과 전쟁을 합니다. 전쟁 중에 느끼지요. 마음이 얼마나 심하게 부딪치고 다치는지를. 전쟁을 치르고 남는 건 "에잇" 하는 후회밖에 없는데도 전쟁은 그림자처럼 따라 붙습니다.
어른들의 전쟁은 어떤가요? 귀가 닳도록 "하지 마라"를 외치는 어른들은 스스로에게는 "하지 마라"를 말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어른들의 전쟁은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끝내는 법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른들의 전쟁은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문제 때문에 생기는 것일까요? <냄비와 국자 전쟁>(미하일 엔데/소년한길)을 보면 모든 전쟁이 그다지 거창하고 중요한 문제로 시작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심술궂은 마녀는 왼쪽나라와 오른쪽나라의 왕자와 공주 세례식 날 초대받지 못하자 선물로 마법의 냄비와 국자를 보냈습니다. 그런데 냄비와 국자가 함께 있을 때에만 스프가 저절로 생기기 때문에 두 나라는 서로 냄비와 국자를 모두 갖겠다고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왕자와 공주의 생각처럼 그저 두 나라가 사이좋게 사용하면 될 것을 채워지지 않는 욕심으로 눈이 어두워진 두 나라는 너나 할 것 없이 상처만 남게 되었지요.
<여섯 사람>(비룡소)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강을 사이에 두고 보초를 서던 군인들이 서로 물오리를 잡으려고 화살을 쐈다가 상대편 땅으로 화살이 넘어가는 바람에 전쟁이 시작되었지요. 아주 작은 오해가 생겼는데 그것을 풀려는 노력은 해 보지도 않고 서로 먼저 덤벼들기만 한 것입니다.
군대는 왜 생겼을까요? <여섯 사람>에서 군대는 애초에 전쟁을 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었습니다. 자기네 땅을 빼앗길까 봐 걱정이 되어, 무서운 다른 사람에게서 자기 것을 지키려고 만든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군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기 것을 지키려고 하던 마음이 남의 것을 빼앗으려는 마음으로 바뀌게 됩니다. 군대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으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군대를 가진 사람이 힘이 세어지니까 다른 사람들까지 군대를 갖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서로에게 으르렁거리던 전쟁도 어떤 사람들의 노력으로 끝나게 됩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오늘'은 없었겠지요. <전쟁>(비룡소)에서 빨강나라 쥘 왕자와 파랑나라 파비앙 왕자가 전쟁을 끝내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두 사람의 생각은 전혀 달랐습니다. 빨강나라 쥘 왕자는 파비앙 왕자와 싸워서 이기는 쪽의 나라가 승리하는 걸로 하자며 결투를 신청했습니다. 파비앙 왕자는 싸우지 않고 누구도 이기거나 지지 않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두 사람 가운데 누가 전쟁을 끝낼 수 있었을까요? 이기고 지는 것을 떠나 싸움을 끝내는 데에만 관심이 있었던 파비앙 왕자였습니다. 쥘 왕자의 방법을 선택했다면 다시 새로운 전쟁이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왕자가 당했는데 왕과 군대가 가만히 있을 리가 없으니까요.
군인들이 무기를 들고 달려드는 전쟁터에만 전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글짓기 시간>(아이세움)의 소년은 친구의 아버지가 군인에게 잡혀가는 것을 보고 두려운 나머지 거짓 글을 썼습니다. 교실에까지 군인이 찾아와 글짓기를 시켰는데 제목이 '우리 식구가 밤마다 하는 일'이었던 것입니다. 사실 매일 밤 라디오를 들었지만 그렇게 썼다가는 친구의 아버지처럼 잡혀갈지도 몰라서 엄마와 아빠가 함께 체스를 둔다고 썼습니다. 덕분에 군인에게 칭찬을 들었지요. 전쟁은 아이들에게 거짓말을 시키기도 하고 거짓말에 칭찬을 해 주기도 하는군요.
어른들의 전쟁이 '서로 과자 먹여 주기 전쟁'이나 '아이스크림 퍼 주기 전쟁'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절대 그렇게 바꿀 수 없는 것이라면, 완전히 없앨 수도 없는 것이라면, <전쟁>의 파비앙 왕자 같은 사람을 많이 키워야겠습니다. 전쟁의 진짜 영웅은 끝까지 싸우려고 하는 사람이 아니라, 싸움을 막으려고 하는 사람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