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보 까보슈 - 3단계 문지아이들 3
다니엘 페나크 글, 마일스 하이먼 그림, 윤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를 보면 헷갈립니다.
  얼마 전 <마음이>라는 영화를 봤을 땐 '마음이'(개) 때문에 가슴이 얼마나 뭉클했는지 모릅니다. 달릴 때마다 날리는 북슬북슬한 털과 새까만 두 눈이 따뜻했습니다. 주인공을 보살펴주는 모양새가 엄마 같은 개였지요.
  요즘 들어 힘없는 아이들을 물어 죽인 개 얘기가 신문이나 방송에 자주 나옵니다. 그 때마다 엄마들은, 개를 만나면 등을 보이지 마라, 개보다 키를 낮추면 안된다더라 하며 당부를 하십니다. 이럴 때 개들은 주인도 몰라보고 은혜도 모르는 흉악한 짐승이 되어 버립니다.
  진돗개 같은 영리한 개 가운데에는 요즘도 멀리 떨어진 주인을 찾아 수십 킬로미터를 달려오는 녀석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식용으로 길러지는 개들은 비좁은 철창 안에서 사람들에게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며 몸부림칩니다.
  그렇다면 개들은 나면서부터 사람을 좋아하고 충성스러운 개와, 사납고 사람에게 공격을 하는 개로 갈라지는 것일까요? 개들은 사람과 함께 살 수 있는 개, 사람과 함께 살 수 없는 개로 나누어지는 것일까요?
  <새끼개>(낮은산)에서 개는 사람들한테서 버려집니다. 그것도 우리 주변의 이웃 아주머니와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들에게서 말입니다. 귀엽다고 데려가 놓고는 애교도 안 떨고 시끄럽게 짖어댄다고 싫어합니다. 엄마가 개를 버렸는데 아이들 역시 개를 찾지 않습니다. 곧 다른 개를 데려다가 귀여워할 뿐입니다.
  <새끼개>에서의 개는 쓸쓸하게 죽어가지만, 개의 마음은 끝끝내 아이들에게 전달되지 않습니다. 개는 개일 뿐 사람의 말을 할 수 없으니까요. 여기서 개와 사람 사이의 가장 큰 문제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말이 통하지 않는 사이라는 점입니다. 개는 개의 눈과 귀로 사람을 판단하고, 사람은 사람의 눈과 귀로 개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개와 사람이 서로 맞지 않아 우울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같은 작가가 쓴 <어미개>는 완전히 다른 내용입니다. 개와 사람이 평생 함께 사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서는 개와 사람이 너무나 닮았습니다. 자식을 사랑하면서도 함께 살지 못해 외로워하며 개와 사람이 의지하고 삽니다. 얼마나 아끼고 사랑하는지 죽음까지 함께 합니다. 개와 사람이 그저 눈길만으로 서로의 생각을 읽습니다. 개가 없었다면 주인공 할머니가 얼마나 고달팠을까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입니다.
  보통, 사람이 개의 주인이라고 하는 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집니다. 그런데 개와 사람이 친구처럼 맺어질 수도 있습니다. 말로만 친구로, 식구로 여기는 게 아닙니다. 나가고 싶을 때 마음대로 나갔다가 보고 싶으면 돌아오고, 간섭하지 않으면서 걱정해 주다가 잘 맞지 않아 다투기도 하는 친구 말입니다. <까보 까보슈>(문학과 지성사)에서 개는 제멋대로 사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적당한 거리를 두고 걸으면서, 전에 못된 주인이었던 소녀를 진짜 친구로 길들이는 장면에서는 현실 속의 개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 정도로 실감이 납니다. 혹시 개를 훈련시킬 때 개의 입장에서는 사람을 길들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게 아닐까요? '귀엽게 쳐다보며 꼬리를 흔들면 먹을 것을 줘라!'라고.
  여전히 개를 보면 헷갈립니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그렇겠지요. 1∼2만 년 전에 이미 사냥개가 존재했다고 하는데, 개와 사람이 얼마나 오랫동안 함께 살아왔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사람과 함께 살 수 있는 개, 사람과 함께 살 수 없는 개'로 구분하는 것이 왠지 개들에게 미안한 생각을 갖게 하는군요.
  개들이 저희들끼리 모이면 이런 얘기를 나누지 않을까 하는 상상을 해 봅니다.

개1 : 야, 오늘 1803호 새로 이사왔는데 그 집 아줌마가 날 보더니 소리를 지르더라.
개2 : 그래? 보나마나 '개 싫어하는 사람'이구나. 조심해. 지나다가 만나면 발로 찰지도 몰라.
개1 : 그러게 말야. 전에 살던 사람들은 '개 좋아하는 사람'이었는데. 앞으로 불편해지겠어.
개2 : 알지? 그런 사람 앞에서 기죽으면 안돼. 무조건 이빨 드러내고 짖어. 머뭇거리면 그 쪽에서 먼저 폭력을 휘두르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