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히라노 게이치로의 책을 읽는 방법을 읽었다.
방울져 떨어지는 시계들의 파문을 읽은 후 바로 이어 읽은 책인데, 나의 독서 지평을 넓히고 앞으로 독서하는 방향의 전환점이 되었다.
우선 슬로리딩을 실천하게 되었다. 슬로리딩이란 양적인 소화보다는 질적으로 진정한 독서를 즐기기 위하여 작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서사 혹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장들을 밑줄을 긋는 등 자신반의 방식으로 구조화하여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고 이후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미래의 더 나은 삶을 대비키 위한 개성적인 독서 체험이라 정의할 수 있겠다.
이는 그동안 나의 독서 방법에 대한 문제를 확실하게 각성하게 해주었다.
한 권의 책을 읽고도 머릿속에 남는 것이 없어서, 그 때의 순간적 감상 혹은 지적인 혀영심을 채우는 것들에 불과한 단편적 체험으로 밖에 기억되는 경험들이 많았다.
누가 그 책에 대해 물어봐도 그 주제에 대해 혹은 내용에 대해 제대로 대답하지 못한 적도 있었다.
후에 누군가에게 그 책에 대해 소개하고 얘기하고 싶을 때를 염두하여 슬로리딩하는 것도 매우 의미가 있겠다.
더하여, 책에 과감히 밑줄을 긋는 습관을 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결벽성 때문인지 그간에는 책에 밑줄을 긋는 것을 꺼리거나 두려워 하였다. 하지만 밑줄을 그음으로써, 그 내용과 의미에 대해 되새겨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럼으로써 그 자체가 머릿속에 구조화 되며 더 깊이 각인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책을 다 읽은 후 리뷰를 위하여 다시 들춰 볼 때, 내가 밑줄 그은 내용을 다시 확인하면서 책의 주요 골자들을 다시금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그것은 후에 내 삶에의 응용 혹은 대입에 도움이 될 수 있게 기억의 장치로서 확실한 역할을 수행한다.
밑줄이 내 삶의 금언인 동시에 흔적이자 미래라고 말할 수 있겠다.
끝으로, 히라노가 예를 들어 설명한 세계 작가들의 주옥같은 작품들을 그의 글을 빌려 처음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된 점이 뜻깊다.
특히, 모리 오가이의 「다카세부네」와 카프카의 『다리』와 같은 작품은 길지 않은 문장을 읽었음(카프카의 다리는 그 자체가 매우 짧은 단편)에도 불구하고 기가 막히다. 라고 감탄할 수 밖에없다.
『책을 읽는 방법』 이 책 또한 길지 않다. 하지만 밑줄 그은 부분은 참 많았다.
그만큼 버릴 것이 거의 없는 응축되고 풍부한 내용과 지침을 담은 책이다.
어느새 책장에 히라노의 거의 모든 작품들이 꽂히고 있다.
이것이 바로 작가의 힘이자 작품의 힘이다.
14.10.05
그러나 독서를 지금보다 즐겁게 하고 싶다면, 먼저 작자가 준비해둔 장치나 고안을 잘 찾아내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P.22)
자신만의 취향을 고집하며 현재의 자신을 긍정하는 책만 읽는다면 시야는 점점 더 좁아질 것이다. 그러나 독서량은 자신이 무리하지 않고 읽을 수 있는 범위, 즉 슬로리딩이 가능한 범위로 충분하며, 그 이상은 무의미하다. 정보의 항상적 과잉공급사회에서 진정한 독서를 즐기기 위해서는, `양`의 독서에서 `질`의 독서로, 망라형 독서에서 선택적 독서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 (P.26)
어떻게 보면 독서는 책을 다 읽었을 때 비로소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페이지를 넘기며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고 느낀 것을 앞으로 생활에서 어떻게 살려나갈 것인가? - 독서라는 체험은, 그때 비로소 의미를 지닌다. (P.35)
한 권의 책을 읽는다는 체험이 누구에게나 같은 것은 아니다. 독선에 빠지지 않고 우선 작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한 다음 자기 나름대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다면, 독서는 그 사람만의 개성적인 체험이 된다. 슬로리딩은 이러한 개성적인 독서를 위한 필요불가결한 기술이다. (P.36)
우리는 이성제일주의, 혹은 의식된 세계가 전부라는 생각에 대한 반성에서, 감성이나 무의식 같은 영역의 가능성에 눈을 돌린다. 그 자체는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감성이나 무의식에 대한 맹신은 때로는 자신에 대한 `비평성`을 잃게 만든다. 독서는 `작자`라는 이름의 타자와 마주함으로써 우리가 보다 열린 인간이 되게 하는 계기를 부여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도 둘째도 `의식적`으로 충분히 사고를 거듭하면서 슬로리딩하는 것이 중요하다. (P.40)
그렇다면 왜 소설은 속독을 할 수 없는 것일까? 그것은 소설에 다양한 노이즈가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소설을 소설답게 만들어주는 것 역시 바로 그 노이즈들이다. (P.41)
우리는 소설을 읽을 때 세부를 버리고 주요 플롯으로만 환원하는 독서법을 그만두고, 오히려 플롯에서 비어져나온 세부를 응시해야 할 것이다. 차이란 항상 미묘하고 섬세한 것이다. (P.43~44)
글을 잘 쓰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어휘력보다도 조사, 조동사의 사용법에서 드러난다. ... 몇 안되는 어휘라도 묘하게 설득력이 있는 글도 있다. 동사와 명사를 살리느냐 죽이느냐 하는 것은 조사와 조동사에 달려 있다. (P.55)
`오독`에도 종류가 있다. 단순히 말뜻을 잘못 이해하거나 논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빈곤한 오독`이요, 슬로리딩을 통해 심사숙고한 끝에 `작자의 의도` 이상으로 흥미 깊은 내용은 찾아내는 것은 `풍요로운 오독`이다. (P.63)
문화는 전파과정에서 `오독력`에 의해 풍부해지며, 이는 책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이러한 풍요로움은 어디까지나 책의입장에서 풍부하다는 것이다. 확실히 `오독력`은 책의 가능성을 확대시켜준다. 그러나 `작자의 의도`를 완전히 무시하고 언제나 `오독력`에 의지해서 책을 읽는 사람은, 무슨 책을 어떻게 읽어도 늘 독선적인 결론만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다.그것은 독자로서의 가능성을 편협하게 하는 독서법이다. 책을 읽는 또 하나의 기쁨은 타자와의 만남이다. 자신과 다른 의견에 귀를 기울여 자신의 생각을 보다 유연하게 만드는 것, 이를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오독`을 즐기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자의 의도`를 생각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이는 슬로 리딩의 비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P.64~65)
그러나 그 이상으로 깨달은 것은, 어느 한 작가가 쓴 작품의 배후에는 엄청나게 광대한 말의 세계가 펼쳐져 있다는 사실이었다. ... 말이라는 것은 지구 규모의 매우 큰 지(知)의 구체(球體)이며, 그중 극히 작은 한 점에 빛을 비추는 것이 한 권의 책이라는 존재라고 나는 생각한다. (P.72)
말할 것도 없이 이 `생각`이라는 행위야말로 독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 이것이야말로 독서의 본래 목적이다. (P.73)
한 권의 책과의 만남은 평생에 단 한 번만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생각보다 훨씬 더 길다. `읽고 난 후에 딱 덮어 버리는` 한 순간의 독서 대신 `읽고 나서 책장`에 두고 생각하는 독서를 택해 우선은 책을 묵혀둔다. 그렇게 적당한 숙성기간을 거친 후에 다시 한번 그 책을 손에 들어본다. 그 숙성기간이란 물론 자기 자신의 숙성기간을 말한다. 자신에게 정말로 중요한 책을 오 년 후, 십 년 후에 가끔씩 꺼내 다시 읽어보라. 그 인상의 변화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성장의 흔적을 실감할 것이다. 외관의 변화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보존해준다. 그러나 내면의 변화를 실감나게 해주는 것은 책이다. ...... 책은 `재독`에 가치가 있다. 읽을 때마다 새로운 발견을 하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한다. 책과 그런 관계를 만들 수 있다면, 책은 더없이 소중한 인생의 일부가 될 것이다. (P.9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