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漢)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 - 권력자와 지식인의 관계 100페이지 톡톡 인문학
최봉수 지음 / 가디언 / 202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한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은 인간의 본성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과거 한나라 시대에 인간의 끝없는 욕망, 지혜롭지 못한 막말, 그리고 내 욕망과 지혜롭지 못한 막말로 인해 빚어질 결과를 예상하지 못하는 우매함 때문에 자신의 수명대로 살지 못한 사람과 쿠데타 세력에 의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나라들이 많았다.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 중 예형, 왕망, 하안, 공용, 혜강과 같은 인물은 한마디로 안하무인이었다. 자신보다 높은 직책에 있는 사람이나 왕에게 자신이 하고 싶은 말과 행동을 무례하게 필터링없이 했다. 결국 이들은 자신의 무례한 언행 때문에 3족이 멸살당하거나 현장에서 상관이 휘둘은 칼에 목이 날아갔다. 옛말에 고양이도 도망갈 곳을 보고 쫓는다고 했다. 상관이나 왕을 능멸하는 부하나 신하를 좋아할 사람은 없다. 자신이 진정 신동이고 천재라면 자신보다 위에 있는 사람에게 무례한 말을 할 때 나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될 지를 예측하는 워게임을 해봐야 한다. 워게임 결과를 보고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최소한 3족을 멸한다거나 자신의 목을 지키기 위해서 지혜롭게 처신해야 한다.

 

현대사회에도 이렇게 안하무인의 무례한 사람들이 있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줄 모르고, 타인을 배려할 줄도 모르고, 자기주장만 펼치고, 그리고 틈만 나면 남의 뒷담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이런 부류에 속한다. 이런 부류의 사람들은 우주에서 좋은 에너지를 받는 것이 쉽지 않아 성공이 쉽지 않고 직장에서 좋은 인간관계를 맺기 힘들고 결국 왕따가 된다.

 

중용을 지키는 것이 참 중요하다. 우리의 인간관계는 절친이다고 해서 너무 가까워해서도 안 되고, 그렇다고 너무 멀게 대해도 안 된다. 화롯불처럼 적정한 거리를 두었을 때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나는 한이 몰락한 이유는 황제든, 왕이든, 그리고 신하든 중용을 지키지 못하고 자신들의 욕망대로 행동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과거 역사에서 형장의 이슬이 된 사람이나 현대의 직장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은 사람은 굽힐 줄 모르는 자신의 아집 때문이었다. 인간의 끝없는 욕구와 감정, 그리고 분노를 통제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그래도 장차 벌어질 일을 예측하면서 행동하는 지혜로움이 필요하다.

 

책 내용중 일부를 소개하면

 

예형은 황조를 앞에 두고 사당에 모신 귀신 같은데, 그마저 제삿밥이나 축내고 효엄마저 없는 자.”라고 약을 올렸다. 그러자 황조는 분을 참지 못하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더니 예형의 목을 그 자리에서 날려버렸다.

 

예형은 권력자들이 그의 세 치 혀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세상 사람들의 눈과 귀 때문에 그를 살려준 줄을 몰랐다. 조조나 유표처럼 화를 다스릴 줄 모르는 황조는 세상의 목을 살필 줄을 모든다는 사실을 철딱서니 예형은 가릴 만한 인물이 되지 못했다.

 

세상은 상대의 생각을 알지 못한 자를 실패한 자라 하며, 알려고도 하지 않는 자를 어리석은 자라 한다. 그 시대와 민심의 명분이 지식인 편에 선 것은 분명하나, 현실적 칼이 위정자의 손에 쥐여 있는 것 또한 사실이었다.

 

예형의 사례는 지식인과 위정자들이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지식인의 속성은 기본적으로 개인주의다. 세상과 뜻이 달라 거리를 두려면 자연에 묻히든, 골방에 잠기면 된다.

 

지식인은 글로, 말로, 지식으로 존재를 드러낸다. 그래서 침묵이 저항이 되고, 절필이 항쟁이 된다.

 

지식이 나고 물러섬이 중요한 까닭은 존재 자체가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좋은 책을 출간해준 최봉수 작가님과 가디언 출판사에 감사를 전한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chae_seongmo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에서 도서를 협찬받아 작성한 것입니다.

#한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최봉수#가디언#중용#인간욕망#욕심통제#말조심#언행의중요성#자기계발#동기부여#김주난작가#60대프로자기계발러#66일습관혁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