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호연의 작업실 - 김호연의 사적인 소설 작업 일지
김호연 지음 / 서랍의날씨 / 2023년 2월
평점 :
제목 : 김호연의 작업실
저자 : 김호연
출판사 : 서랍의 날씨
<김호연의 작업실>의 챕터는 소설을 쓰며 생각한 것들, 나의 소설 작업 친구들, 이야기 탄생의 비밀, 소설쓰기의 기쁨과 슬픔, 글쓰기 마음쓰기, 마감하고 다시 쓰고 팔아라, 쓰기 위해 읽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소설이나 일반도서를 쓸 작가 지망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책이다. 작가는 자신이 처음 소설을 쓰기 시작할 때 얼마나 어려운 생활을 했는지, 자신은 어떤 루틴으로 소설을 쓰고 있는지, 100만부가 팔린 <불편한 편의점>을 쓸 때 어디서 영감을 얻었는지, 자신이 소설을 쓸 때 기준으로 삼고 있는 좋은 소설 소개 등 많은 내용을 자세하게 책에서 제시하고 있다. 소설 쓰는 노하우 책으로 손색이 없다.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을 것으로 확신한다. 좋은 책을 출간해준 김호연 작가와 서랍의 날씨 출판사에 감사를 드린다.
책의 내용 중 일부를 소개하면
패배는 없다. 이기거나 배우거나.
매사가 그러하지만 글쓰기 역시 왕도가 없다. 꾸준함만이 정답이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 루틴과 작업실이다. 나는 작업실 절대주의자다. 작업실이란 글쓰기를 방해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한 진공의 공간이다.
작업실과 루틴 못지 않게 중요한 것으로 산책이 있다. 나에게 산책로는 글쓰기의 용광로 같은 곳이다. 발로 글을 쓰기 때문이다. 나는 산책을 하며 이야기를 구상한다. 작업실에 글을 쓰다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산책을 하며 떠올린다.
글쓰기에서 독서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책읽기는 글쓰기의 전공필수다.
독서를 꾸준히 한다면 창작의 고속도로에서 작가라는 차를 몰 수 있는 운전면허증은 따 놓은 셈이라 하겠다.
집필 생활은 원래 고독한 감금 생활이다. 이것을 제대로 다룰 수 없다면 시작할 필요도 없다.
<월 셀프>
산책이 아니었더라면 내 머리는 터져버렸을 것이다.
<찰스 디킨스>
작가가 되고 싶은 사람이 독서를 안 한다는 것은 가수가 되고 싶은데 노래를 안 듣는 것과 같다.
독서는 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글쓰기의 핵심요소다.
독서는 겸손과 투지의 원동력이고, 자신감의 원천이고, 다른 인생을 사는 것이다.
책을 쓸 때 아이템과 제목이라는 원투 펀치를 잘 날려야 한다. 이 두가지 도구로 독자들을 사로잡지 않고서는 사람들에게 당신 책은 읽히지 않을 것이다. 책 말고 즐길 거리가 넘쳐나는 세상이다. 이 시대의 책은 튀어야 한다.
눈에 확 들어오는 기획 즉 호기심과 관심을 끌 제목과 아이템이 아니라면 사람들은 자신의 돈과 시간을 소설에 할애하지 않는다. 그래서 아이템이 신선해야 한다. 제목이 책을 펼치게 만들어야 한다.
아이템과 제목은 당신의 소설을 처음 읽는 독자인 출판편집자에게 어필하는 도구다. 소설의 제목과 카피로 출판편집자를 사로잡지 않으면 당신의 소설원고는 책으로 나올 수 없다.
그러므로 소설 구상의 절반은 아이템과 제목에 있다. 모름지기 시작이 반이고, 아이템과 제목을 완성하는 게 소설 쓰기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플롯은 이야기의 줄거리다. 나는 시놉시스라고 불리는 플롯이 있는 줄거리를 지도처럼 확보한 뒤 집필에 나선다. 내게 소설쓰기란 낯설고 힘겨운 모험과 같다. 적어도 지도는 챙겨야 하는 것이다.
당신은 남의 신발을 신어봤는가? 다른 사람의 신을 신어보고, 다른 사람의 피부로 느껴본다.
내 글쓰기의 최고 동력은 호기심이고, 나는 호기심이 매우 많은 사람이다.
첫날은 작업 파일을 만들고 진실한 문장 하나를 쓰세요. 그럼 당신은 좋은 작품을 시작한 것입니다.
<김호연>
전업작가 초창기부터 줄곧 음악을 들으며 썼다. 요즘은 작업 내내 음악을 듣지 않는다. 귀도 힘들다. 때론 작품에 몰입해야 하는 상황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글을 쓸 용기를 낸다는 것은 두려움을 지워 버리거나 정복하는 것이 아니다. 현직 작가들은 불안감을 씻어낸 사람들이 아니다. 그들은 심장이 두근거리고 속이 울렁거려도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쓰는 사람들이다.
<랄프 키스>
글을 쓰는 것은 밤에 차를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다. 당신은 헤드라이트가 비추는 곳보다 결코 멀리 볼 수가 없다.
글쓰기는 한 번 배우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정비와 다르다. 훌륭한 글을 쓰기 위해 새 시나리오를 쓸 때마다 글쓰기를 배운다는 심정으로 임해야 한다.
글 쓰는 일을 받아들여 습관으로 만들고 그 습관이 강박관념이 되기 전에는, 그 사람은 작가가 아니다. 글 쓰는 일은 강박관념이 되어야 한다. 그것은 말하고 잠자고 먹는 일처럼 본질적이고 생리적이며 심리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니위 오순다레>
글이 안 써질 땐 글을 쓰면 됩니다. 작가의 일상이 그것이기 때문이다. 글이 안써지는 건 계속 쓰지 않아서라고.
출판을 했다는 건 당신이 당신의 글을 제대로 썼다는 인정을 사회로부터 받는 걸 의미한다. 당신은 이제 켤코 잃어 버릴 수 없는 사회적 지위를 얻게 된다. 일단 책을 출간한 작가가 되면, 당신은 글을 써서 먹고 살게 될 뿐만 아니라, 자기가 가장 좋아하는 일을 하며 먹고 사는 희기한 신분에 소속되는 것이다. 당신은 다른 작가와 마찬가지로 다시 자리에 앉아 빈 페이지를 마주해야 한다.
<엔 라모트>
제목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어야 한다. <불편한 편의점>은 제목부터 눈길이 간다. 단숨에 궁금증이 인다. 편의를 위한 편의점이 불편하다는 아이러니가 책에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chae_seongmo
#김호연의작업실#김호연#서랍의날씨#소설#글쓰기#출판#김주난작가#60대프로자기계발러#66일습관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