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에서 온 아이 큰 스푼
이규희 지음, 백대승 그림 / 스푼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여름 노원에 생활사박물관이 개관했단 소식에 다녀온 일이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가서 체험관람하기에 좋은 곳이라는 추천의 말을 듣고 방문했는데요. 6.25 이후의 서울의 모습을 찍은 흑백사진을 보니 어른이지만 당시를 겪어보지 못한 저도 신기하고 색다른 느낌이 들었습니다. 전쟁 직후의 폐허와 재건하는 모습들이 찍힌 사진들을 보면서 현재 도시 모습과 비교하는 재미도 있었지만 그 곳에 찍혀있는 사람들의 얼굴들이 더 눈에 들어왔습니다. 특히나 우유배급을 받기 위해 줄지어 서있는 아이들의 모습이 가슴이 아프면서도 순진한 아이들의 얼굴에서 희망이 보이는 듯해서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어느 나라, 시대든 전쟁이 일어나면 가장 피해를 보는 사람들이 아이들, 여성들, 노인들이죠... 최전선에서 싸우는 남성들, 군인들의 숭고한 희생도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입니다만 아직 세상에 대해 알기도 전에 전쟁을 겪어야만 하는 죄없는 아이들이 평생 안고가야할 고통스런 기억들을 생각하면 어른으로서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한 마음이 들 뿐입니다.. 물론 6.25전쟁이 발발한지 70년이 지났으므로 전쟁당시 아이였던 분들은 지금 저보다 연세가 많은 어르신이 되어 살아오시면서 수 많은 기억들로 전쟁당시의 기억들을 묻으셨을거라 생각하지만 6.25 전쟁기념 다큐멘터리등을 통해 인터뷰를 들어보면 지금도 생생하게 그 고통스런 상황을 기억하고 계셨습니다. 이렇듯 전쟁에서 겪은 고통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평생을 따라다니는 듯 합니다..


[장진호에서 온 아이]는 올해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출간된 기념 역사 동화로 함경남도에 위치한 장진호에서 살던 강우가 6.25 전쟁으로 인해 거제도까지 피난을 가는 이야기입니다. 계절을 즐기면서 장진호에서 수영하고 들과 산을 뛰어다니던 아이가 고향도 가족도 다 잃어버리고 생면부지인 거제도까지 떠밀려오게 되는 가슴 아픈 이야기이지만 가족을 잃고 전쟁이라는 고통 속에서도 사람에게 위로받고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강우의 강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6.25 전쟁이 더 잔혹하고 비참한 전쟁인 것은 아마 같은 민족끼리 누군가의 이기적인 이념때문에 발발한 전쟁이어서 인 것 같습니다. 소수의 이념들과 이기적인 욕심때문에 가족이 해체되고 같은 동네에 살던 사람들끼리 의심하고 박해하고 죽이게 되는 가슴아픈 일이 일어나버렸습니다. 조용히 잘 살아가던 강우 가족은 인민군에게 형을 빼앗기고 미군과 중공군의 개입으로 아버지도 몸을 피하면서 가족이 점점 해체되기 시작합니다. 피난을 떠나면서 고향에 남기로 한 할머니를 두고 엄마와 동생 강희와 떠나지만 수 많은 인파와 다리가 폭파되면서 모든 가족들을 잃고 맙니다.

다행히 길수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구사일생으로 부산항을 거쳐 거제도에 도착하게 됩니다. 크리스마스이브의 기적으로 강수가 탄 배는 무사히 부산항에 도착하지만 이후에는 부두가 불타버려 이제 배가 뜨지 못한단 소리에 강우는 절망하지만 작가님은 강우와 피난민들의 절망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그 안에도 희망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피난을 가는 배 안에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고 생면부지의 사람들이지만 서로 보듬어주는 모습과 거제도에서 북에서 온 피난민들을 도와주는 남한사람들, 서로를 의지하는 길수와 강우, 두 아이를 잘 키우겠다고 다짐하고 생활력있는 모습을 보이는 길수엄마의 모습은 어떻게 남한. 대한민국이 전쟁 이후에 절망 속에 빠져있지 않고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다시 일어설 수 있는지를보여주는 듯 합니다. 책을 덮으면서 인민군에게 끌려가 북한군으로 전쟁에 참여했던 형과 철장사이로 만날 수밖에 없지만 언젠가는 강우의 모든 가족들이 한곳에 모여 따뜻한 밥을 먹는 그날이 오길 바라며 강우를 응원하게 되네요..

저도 아이도 전쟁을 알지 못하는 세대인데다가 전쟁이라고 하면 영화나 소설에 나오는 이야기이거나 뉴스를 통해 보는 외국의 이야기들일뿐인데 [장진호에서 온 아이]를 읽으면서 전쟁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얼마전 방영한 사랑의 불시착이란 드라마를 보면서사랑하는 사람인데 이루어지기 힘든 주인공의 상황에 안타까워했었는데요. 그들보다 더 이전에 70여년간을 생사확인도 못한채 만나지도 못하는 이산가족들의 안타까운 이야기를 좀 더 알고 싶어졌습니다. 이제 연세가 많아 돌아가신 분들도 많고 전쟁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는 세대가 많아 앞으로 분단된 우리 나라가 과거 전쟁의 아픔을 딛고 어떤 식으로 통일을 해야 할지 더 많이 고민을 해봐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