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샤를로테 링크 지음, 강명순 옮김 / 밝은세상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리묘사의 여왕인 샤를로테 링크의 장편소설인 [수사]를 완독했습니다. 옮긴이의 말까지 합치면 600페이지의 길고 긴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손에서 한번도 떼지 못하고 한번에 다 읽어내려갔습니다. 전작들을 읽어본터라 이번에도 기대감을 갖고 읽었는데 역시... 감탄을 할 수 박에 없는 심리묘사에 푹 빠졌습니다.
이 책의 제목은 한국판이랑 독일어판이 약간 다른데요.
한국판으로는
[ 수사 : 범죄의 혐의 유무를 명백히 하여 공소의 제기와 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서 범인을 발견 확보하고 증거를 수집ㆍ보전하는 수사 기관의 활동.]
독일어판으로는
[ die Suche : 모색 :일이나 사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실마리를 더듬어 찾음 ]
비슷한 느낌이긴 하지만 역시 모색이란 뜻이 내용과는 좀 더 어울리는 제목인듯 합니다. 사실 수사라는 제목도 처음에는 수사가 범죄에 대한 단어가 아니라 특별한 뜻이 있다고 생각했었기에 제목이 내용에 직관적으로 와닿았던 것 같진 않았어요~~ 책을 읽고 나서야 제목인 수사가 그 수사였군..했습니다. ㅎㅎ
이번 소설에 더 감정이입이 되었던 이유 중의 하나가 이번 소설의 소재때문이었습니다. 14세 소녀들을 납치하고 학대하는 범죄자와 그리고 헌신적인 가족이 아닌 아이에게 무관심하고 학대를 일삼는 가족들에 대한 잔인한 이야기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최근 일어난 어린 소녀를 무관심과 신체적 폭력을 가했던 창녕 9세 여자아이 학대사건도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일어난 끔찍한 일이었기때문에 가족의 울타리안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잔인한 범죄자들의 손에 떨어져버린 소녀들에게 더 감정이입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잔혹함으로 치면 소설보다는 현실이 더 심한 것 같긴 하지만.... 수사는 사건보다는 가해자인 소녀들과 가족들의 이야기와 심리에 더 초점을 두고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때문에 가정학대 스토리 부분이 더 와닿는 것 같습니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케이트 린빌은 전작인 [속임수]에서도 케일럽반장과 함께 수사를 진행하는데요. 속임수에서는 미진하게 진행되던 두 사람이 이번 수사에서는 조금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며 이 후에 진행될 두 사람의 이야기를 기대하게 만들었습니다. 두사람의 이야기가 시리즈로 쭈욱 진행될 것 같아 다음 작품이 기대됩니다 ~~^^
2012년부터 꾸준하게 출간되어온 샤를로테 링크의 소설들은 대부분 장편소설로 엄청난 두께를 자랑하지만 눈깜작할 사이에 다 읽어버리게 만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아직 대표작이 국내에 다 소개된 건 아니라서 앞으로 더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독일 작가이긴하지만 섬세한 심리묘사와 입체적인 인물의 표현 등으로 사회적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아주 먼 이야기라고 느껴지지 않고 이야기에 공감대 형성이 잘 되는 듯합니다. 부모의 사랑을 갈구하다가 배신당한 소녀들, 비뚤어진 애정을 가진 부모들, 자신의 비극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시킨 범죄자...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섞여버린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범죄자의 잔혹한 행태는 용서 받지 못할 일이지만 저도 부모라서 그런지... 부모들의 무관심과 비뚤어진 애정 또한 용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