캣피싱
나오미 크리처 지음, 신해경 옮김 / 허블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오미 크리처가 담아낸 미래 세상은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미래처럼 도시적이기 보다는 정겹고 촌스러운 부분들이 많았고 그래서 오히려 더 좋았다.
특히 학교 생활에 잘 녹아있는 로봇들이 굉장히 그럴듯한 미래라고 생각했다.
(그다지 유능하지 않은 학교의 로봇들, 이 친구들은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선생님들의 귀찮은 업무나 일손을 덜기는 한다.)


캣피싱은 주인공 스테프와과 체셔캣이라는 이름의 AI, 이렇게 두 캐릭터를 중점적으로 두 개의 시선이 번갈아 나오며 이야기가 흘러간다.
체셔캣이라는 AI는 본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좀 그렇기는 하지만)에게 주어진 업무 이외에도 스스로 생각해서 약간의 사고를 치기도 하고 또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도 보인다.

AI가 인격을 가진다는 가정은 많이 접했지만 이 <캣피싱>에 등장하는 AI의 독특한 점은 어떤 한 채팅방을 특히 좋아하고, 그중에 한 인물을 특히 아껴서 도와주고 싶어하는 귀여운 성격을 가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고양이 사진 좋아하는 거 너무 깜찍하잖아!

학생들이 주인공이라고 해서 마냥 스릴 없지도 않고 나름 박진감 넘치는 순간들도 있다.
아빠가 스테프를 쫓아올 때 같이 아찔해져서 아주 심장이 두근두근했다. 그리고 사실 그 부분에서 이미 잘 시간이 넘은 상태였는데 책을 덮기 애매해서 대충 그 사건이 어떻게 마무리 나는지까지 보고서야 잠자리에 들 수 있었다.

다양한 정체성에 관해 짧지만 자극적이지 않은 언어로, 분명하게 짚고 넘어간 점도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청소년들이 어떤 과학적인 부분에서든 이런 인식적인 부분에서든 현재와 미래를 비교하고 받아들일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소설처럼 재미로 읽는 책의 내용은 반드시 지식이 되지는 않아도 어떻게든 삶에 영향을 주기도 하니까 말이다.

약 400페이지 정도로 두껍지 않다고는 못하는 책인데 사실 읽어보면 내용이 그정도로 길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두께는 그렇지 않지만 가볍게 읽기 좋은 책!
부디 다른 독자들이 이 넓은 책등에 겁먹지 않기를.. 하고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