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변의 싸이코들 - 시나리오로 쉽게 이해하는 성격장애
두에인 L. 도버트 지음, 이윤혜 옮김 / 황소걸음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주변의 싸이코들>을 읽으면 장애와 질환의 차이가 구분 가능하다. 질환은 원래 정상적이었으나 어떤 이유로 몸이나 마음에 문제가 생겼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반면, 장애는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정상으로 돌아가기 힘들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범죄 과학 수사 연구 책임자이자 대학교수인 도버트는 <내 주변의 싸이코들>에서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성격 장애 11가지 유형과 평범한 우리의 대처법을 소개한다.


책의 목적은 의학적 혹은 심리학적 지식의 전파가 아니라, 비장애자의 피해자화를 막기 위함이다.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고의이든 아니든, 언제나 피해자를 만든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성격장애가 정신병, 즉 질환이 아니라는 점이다.


성격장애를 알지 못하면, 피해자는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손상을 당한다. 자존감 하락, 불필요한 죄책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를 경험한다. 정작 치료가 필요한 그들이 아니라, 그들로부터 피해를 당한 사람들이 고통과 치료의 악순환을 겪는 셈이다.


성격장애자는 주변인과 사건을 자기만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자기중심적인 사고의 그들은 다른 사람이 괴로워하거나 고통스러워해도 죄책감에 시달리지 않는다. 이들의 "자기 본위 인식"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 즉, 경직성이 특징이다.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은 개인이 속한 문화적 기대에서 현저히 어긋나는 감정적 동요와 행동을 지속하는 경향의 유무이다. 그와 같은 감정적 동요와 행동은 사춘기나 성인기 초반에 시작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의 특별한 기질로 굳어진다.


도버트는 11가지의 성격 장애 유형을 3가지로 나누고, 각 성격장애의 전형을 시나리오와 일러스트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풍부한 사례와 함께 성격장애 기준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성격장애로 판단할 때의 주의점, 원인과 경과는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에게 유용하며, 대하는 법은 인간관계로 갈등하는 모든 이에게 해법과 같다.


별나거나 이상한 성격에는 편집성 성격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가 있다. 이들의 경우, 마냥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 편집성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의 강한 승부욕과 의심은 협상에 적합하며 법이나 정치 분야에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분열형 성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창의성이 필요한 예술 분야에 업적을 남기는 사례가 종종 있다.


감정적이거나 변덕스러운 성격에는 행동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히스테리성(연극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다. 행동장애는 성격장애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유아기, 아동기, 사춘기에 처음으로 진단받는 장애이다.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미성년자가 성장하면, 반사회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어른의 뇌가 발달 단계상 청소년기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게다가 이들의 행동 교정은 양심이 아니라, 특정 행동으로 얻는 즐거움이 행동에 따른 결과보다 못할 지경이 되면 행동 교정을 선택한다는 점은 오늘날의 사법부와 교정 시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특징도 있으며, 만성적, 평생 지속한다. 노버트는 "만나지 않는 것이 최선이며, 만나면 빌미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라고 경고한다.


걱정하거나 두려워하는 성격에는 회피성 성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가 있다. 회피성 성격장애의 경우, 강박성 성격장애나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있는 부모의 감정적 학대, 성장기의 거듭된 좌절과 따돌림이 원인이다. 성격장애자로부터 피해를 받아 성격장애 진단을 받은 셈이다.

의존성 성격장애의 경우, 직접적인 도움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법을 유도해야 한다. 강박증과 다른 강박성 성격장애는 자기 생각이나 방식으로 모든 것을 통제, 자신의 기준을 타인에게 요구하기 때문에 치료 성공률이 현저하게 낮다.


"지피지기(知彼知己)면 백전불퇴(百戰不殆)"라는 말이 있다. 성격장애를 안다면, 우리는 덜 위태로울 수 있다. 게다가 각 유형별 성격장애의 여러 특징이 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저마다 안고 있는 성격의 문제이기도 하다. 성격 때문에 고통받는다면, <내 주변의 싸이코들>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