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 너의 배움에 주인이 되어라 - 왜,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10대들과 나눈 뜨거운 대화
양희규 지음 / 글담출판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고민 방황의 시기
10대
어떻게 보내셨나요?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10대 큰 고민과 방황은 없었지만
살짝 고민을 했을 당시 십대들의 쪽지를 읽고
위안이 된 적도 있었지요.
참으로 신기하게도 말이죠
누구와 구구절절 이야기 한 것도 아닌데
내 이야기인 것처럼 느끼면서 글을 읽고
위안이 된다는게 신기하기도 했지요.

"10대 너의 배움에 주인이 되어라"
또한 지금 10대를 겪고 있는 청소년
그리고 10대의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
저처럼 곧 십대가 될 아이를 두고 있는 부모도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작가 양희규님은
우리나라에 처음 대안학교를 세웠던 그 분이십니다

나와 소년이 나누는 대화 형식을 택한 건
쉽게 읽혀지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이겠지요.
아무리 좋은 글이라도
도덕 교과서 같으면 읽혀지지 않을테니까요
읽는 내내 느낀 건
제가 시험에서 수수께끼처럼 남아있던 의문이
아직까지도 있다는 것이었죠.
많이 바뀌었을 꺼라고 생각했는데
국어 시험에서 왜 이것이 정답인지
확실히 설명이 안 되는 부분들이 많아요.
제가 딱 한 번 국어부장을 했었어서
국어 수능 시험 문제 풀이를
앞에서 했었는데
참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답니다.

그런데 참으로 뜻밖의 예시를
최승호 시인의 시에 관한 수능문제
그런데 정작 최승호 시인은 다섯개의 문제 중에서
한 개만 맞췄다는!!!
시의 해석을 배우면서도
"정말 이 시인이 이렇게 생각하고 쓴 게 맞을까?" 라고
의문을 갖곤 했었는데
시를 읽으면서 왜 이렇게 해석에 매달려야 하는걸까?
라고 생각했었는데...

우리 나라 교육의 현실은 알면 알수록
안타깝기 그지 없고
왜 아직도 바뀐 게 없는 걸까?
의문 스럽기만 합니다.
체육 시간이 날 마다 있어야 하는 나라
더군다나 일본과 비교해서도
우리나라 학생들의 시간표를 보고
답답..아니 먹먹함까지 느껴졌습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문제다 라고 이야기 하기 전에
그 아이들이 마음을 풀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볼 순 없는지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듯
아이들이 받는 스트레스는
마음의 병이 되고 있을 터인데

나 역시나 학창시절
참으로 후회스러웠던 부분이
대학이 목표였던 것이죠.
앞으로 살아갈 날이 너무나도 많은데
인생의 목표가 대학에서 끝나 버리다니
대학은 단지 목표의 과정일 뿐인데
그땐 미처 몰랐던 거죠.

여전히 학교 시험에서
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또 급 실망
왜 그런지
어떻게 해야할지
등등의 사고 토론이 중요하다는
우리나라가 하버드대에서 처음에 장학생으로 갔다가
적응을 못하고 낙제가 되는 건
알려주는대로 외우고 풀고 했기 떄문이라지요.
근데 왜 그렇게 푸는 지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생각을 묻고 듣고 토론 위주의 수업에
적응을 못하게 된다고 합니다.

생각하는 학교
어려운 일일까요?
수능세대였던 두남매맘
그 때부터 뭔가 달라질 듯 해 보였으나
아직도 학교 교육은 세대에 맞지 않는
주입식인가 봅니다.

나 어릴 때와
지금은 아이들이 다르듯
더 생각이 많고 다양한 사고를 갖고 있는
현 세대의 아이들에게
주입식 교육이라니!!!

행복한 삶
그것이 성공이라는 것에 전부터 동감했던 것
주위에서 성공했다고 하지만
그 안에 극도의 외로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도 있고.
자신이 하는 일이 즐거운 사람
그 사람이 정말 행복하고 성공한 사람이 아닐까?
나 또한 우리 아이들이 그런 삶을 살길 원한다.

필자가 이야기하는 학교교육
나 또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학교 교육이지만
아직 우리나라 교육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음이
답답할 뿐이다.
하지만 분명 청소년들의 학교 공부에 대한
고뇌를 이해해주고 공감부터 해주고
그 실마리를 풀어나가도록 도와주는
양희규님의 <10대 너의 배움에 주인이 되어라>는
읽는 청소년들에게
위안이 되고
미래를 설계하는데 지침이 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들에게 공부 스트레스
그로 인한 패배감,폭력,자살이 없는
아이들로 하여금
배움이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학교가 되길
소망해본다.
아주 간절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