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 번 죽었습니다 - 8세, 18세, 22세에 찾아온 암과의 동거
손혜진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네이버 아름다운 동행 카페에서 서평이벤트를 해서 많이 망설이다 서평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죽음 그것도 10년 넘게 웃고 울고 모든 생활을 나누면서 살던 가족이 어느날 갑자기 암에 걸리고 한 달도 안돼서 잃고 말았습니다. 처음 몇 달은 충격 속에 살았고 그 다음부터는 일상 생활을 하며 하루하루 그리고 한 달 두 달 그렇게 지내고 있습니다.

 [세 번 죽었습니다] 책을 읽기 전에는,  암이 걸린 후 다 낳았다는 얘기 인 줄 알고 처음 읽기 시작했습니다. 어린 나이에 갑자기 암환자가 된 아이는 얼마나 무섭고 힘들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책은 읽었는데 이외로 밝고 명랑한 아이의 모습이 너무 보기 좋았습니다 기나긴 병원생활에 얼마나 힘이 들었을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도 상상조차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수신증으로 태어난 큰 아이가 큰 수술을 받고 병원에 보름정도 입원을 했었는데 그 때도 하루하루 길어지는 병원생활이 참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술 후 헤모글로빈 수치때문에 방문했던 소아혈액센터에서 아픈 많은 아이들을 만났습니다. 의료진은 저희 아이에게 "건강한 아이를 만나니 너무 좋네요" 라고 첫 인사를 했습니다 . 정말이지 저희 아이 빼고는 다 모자를 쓰고 있었고 어떤 아이들은 휠체어를 타고 오는 아이도 있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도 그런 모습이었겠다 생각을 하니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입장에서 마음이 참으로 아팠습니다 ㅜㅜ

작가는 아픈 아이에게 아픈 어른이 되었습니다. 저도 이 책을 읽고 처음으로 GIST라는 희귀암을 알았습니다. (저희 시아버님이 앓으셨던 원발부위불명암 만큼이나 희귀하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궁금해서 검색을 해 봤습니다 

위장관 간질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GIST)

-대장의 위장관 간질 종양의 정의 및 특징

위장관 간질종양(GIST)은 장 운동에 관여하는 세포인 카할 간질세포(interstitial cells of Cajal) 또는 카할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원시 간세포(primitive stem cell)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도에서 직장까지 위장관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위(50%)나 소장(25%)에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장에는 5-10%정도 발생하며 전체 위장관 악성 종양(암)의 1-3%를 차지합니다. 특히 대장의 악성 위장관 간질종양(GIST)은 전체 대장암 발생의 0.26-0.3%를 차지 하는 매우 드문 암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2번의 수술을 받고 끊임없이 항암치료를 받았습니다. 수술 후 재발이 되어 항암치료를 계속 받고 있습니다 언제 종료가 될 지 아니 종료가 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도 이 책의 저자 손혜진님은 꿋꿋이 잘 버티고 있습니다.
 책 내용 중에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있었는데 같은 중환자실에 있던  전신화상 환자를 보고 얼마나 아프면 저렇게 소리를 지를까?? 하며 안타까운 마음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자살을 시도하다 그렇게 되었다는 소리에 얼마나 절망스러웠을까? '자기가 저지른일 저렇게 소리를 지르면 남에게 얼마나 피해가 되는데...' 라는 말 속에서 혜진님이 느꼈을 그.감정들 ... 아픈 사람들은 하루를 더 살고 싶을텐데... 

암환자의 가족이 되고나니 하루하루의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오늘 하루가 다시 오지 않을 것을 알기에 하루하루 최선을 다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병을 걸리기 전에 너무나도 건강하셨던 아버님은 병에 걸린 것을 알고도 정말 최선을 다하셨습니다 가족에게 내색을 하지 않으려고 애쓰시던 모습이 눈에 정말 아직도 선합니다 ㅠㅠ

개인적으로 혜진님이 병을 잘 이겨내셨음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잘 하셨듯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치료를 받으시고 하루하루 행복하셨음좋겠습니다 

책의 내용 중에 기억이 남는 장면을 캡쳐를 해 보았습니다.

 

아픈아이가 되어 버린 자신을 '나는 달라?'라고 생각을 할 정도로 혜진님은 긍정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것도 아마도 아팠던 어린시절을 버틸 수 있는 힘이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읽는 많은 사람들도 작가님처럼 용기를 냈음 좋겠습니다. 무섭고 힘든 투병생활이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이겨내려고 하는 마음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다음 캡쳐 장면은 골수검사를 받는 장면입니다. 실제로 저희 여동생이 중학교3학년때 뇌수막염을 앓아서 골수를 빼서 검사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옆에서 보는데 지금 생각해도 손발이 다 떨릴정도이고 동생도 얼마나 소리를 질렀는지 목이 다 쉬어버리고 했습니다. 이 검사를 세번씩이나....

꿋꿋하게 이겨내는 모습에 감동도 하고 슬펐습니다.

 

책 곳곳에서 아픔을 이겨내는 혜진님과 가족들의 모습이 너무 맘아프게 다가옵니다. 꼭 이기셔서 카페에도 좋은 소식 올려주셨음좋겠습니다.

 

귀한 책 읽을 기회를 주신 아름다운 동행 카페와 RHK출판사에 감사함을 드리며 서평을 마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